전국 산과 들에 봄꽃의 향연이 연출되고 있지만 농촌의 산과 들은 본격적인 영농철로 접어들며 가장 바쁜 시기를 보내고 있다.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작업은 다양한 농기계 개발·보급으로 상당히 기계화됐지만 아직 일손이 절실히 필요하다. 2016년 기준으로 벼농사 기계화율은 97.9%에 달하는 반면에 밭농사는 58.3%에 불과하다.

특히 노지 재배하는 밭농사와 과수 농가에서 일손이 많이 필요하지만 일손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

농촌의 초고령화와 부녀화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양파·마늘·노지고추 농작만 해도 인력이 442만 명이 필요하다. 많은 농가가 매년 농번기에는 웃돈을 주면서까지 인력확보 전쟁을 치른다. 이렇게 비싼 인건비는 농업 경영비 상승으로 농업소득을 감소시켜 농가에 이중고가 된다.

원활한 농업인력 지원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제도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농촌인구 감소가 인력수급 사정을 갈수록 더 어려워지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기업체와 행정기관 등 민관의 적극적인 농촌 일손 돕기 재능기부 활동이 필요하다.

기업을 홍보하는 단순한 전시성 행사가 아니라 실질적인 일손 돕기가 절실하다. 또한 사회복지기관 위주로 진행되는 중·고등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농촌 일손 돕기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농업농촌의 소중함과 농업인의 고마움을 느낄 수 있는 진정한 봉사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곽명진.jpg

농촌 일손 돕기는 단순한 봉사차원을 넘어서 도농 상생으로 함께 잘 살아가는 길이다. 농촌에서는 부족한 농촌 일손을 해소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비싼 인건비 절감으로 농업 경영비를 낮추어 농가소득 증대에도 도움이 된다. 도시민들은 공동체 작업을 통해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업농촌의 소중함을 느끼고 건강한 삶을 지키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농업농촌은 FTA로 말미암은 외국농산물 수입 증가와 김영란법 등으로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농업인들은 오늘도 우리의 몸에 맞는 토종 먹거리를 생산하려고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민관에서는 이러한 어려운 현실을 이해해 농촌 일손 돕기 봉사활동에 앞장서서 동참하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