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는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존재하고 활동하고 있다. 국어사전상 전문가 의미는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돼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자격증과 면허, 학위, 경력 등으로 특정 전문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 사회는 전문가들에게 공식적인 기회의 불평등을 인정한다. 심지어 일부 몇몇 분야는 법률로 그 전문분야를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 불균등은 소득 불균등과 직결되기 마련이다. 물론 오랜 시간 많은 노력과 비용을 들여 공부한 전문가들의 열정이나 삶의 가치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단순히 개인 노력만으로 자신의 전문성이 완성되거나, 부여받은 것이 아님을 인지해야 한다. 그들이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 것도 사회 시스템의 일부이고, 그들에게 자격이나 면허·학위를 부여한 것 또한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다.

그리고 그 전문성을 인정하고 보호하는 것도 사회 시스템이다. 그러하기에 전문가들은 사회로부터 부여받은 기회의 불균등을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사용하거나,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 사용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에게는 기회의 불균등만큼의 사회적 책무가 반드시 따르게 마련이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교육의 한계는 오로지 그 전문지식 함양에 초점이 맞춰진 듯하다. 전문가에게 부여된 사회적 책무나 직업윤리를 그들은 배움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런 전문가들이 우리 사회의 지도층으로 성장하기에 지금의 우리 사회의 윤리의식과 도덕적 기준이 땅에 떨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전문가들에게 윤리와 도덕은 꼭 지키고자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무이고, 때로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임을 필자는 말하고 싶다.

이 땅의 불합리한 정치지도자들의 행태(行態)를 말하기 전에 전문가들이 먼저 사회적 책무를 다하였다면, 아마도 지금보다는 조금 더 좋은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금부터라도 전문가들에게 전문지식과 함께 윤리와 철학, 도덕을 학습시켜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우리 사회가 바로 서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 필자는 믿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