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거제 삼성중공업에서 크레인이 붕괴하는 초대형 산재사고가 발생하면서 6명이 숨지고 25명이 다쳤다. 사고가 일어난 날이 공교롭게도 노동절이어서 사회적으로 큰 충격과 함께 씁쓸한 여운을 던져주고 있다.

대형 조선소에서는 인명을 해치는 중대재해가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번 같은 초대형 사고는 매우 보기 드문 경우이다. 즉, 현장 작업자들 사이에서도 매우 이례적이라고 본다는 점이다. 일어나서는 되지 않는 사고가 일어나는 게 산재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정확한 원인 규명과 더불어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다시 말해 이런 초대형 사고의 재발방지 대책 수립은 사고에 대한 철저한 원인규명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당장은 섣부른 추측보다 과학적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산재대책 마련에는 작업방식뿐만 아니라 고용형태에 따른 노동조건의 차이도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 왜냐면, 노동현장에서는 매년 9만 건 이상의 산재사고가 일어나고 있으며 약 1000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산재 사망자의 약 절반이 건설업 노동자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대형 장비가 작동되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재는 사람의 인명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고용노동부는 산재 사망자 수가 최근 10년간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여서 중대재해 발생이 완화하는 경향성이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산재 발생건수는 그리 큰 변화를 찾아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대재해의 경우 정규직 노동자들이 아니라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집중되는 경향에 오히려 주목해야 한다. 어렵고 힘든 일에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투입되면서 사고에 노출되는 현상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런 우려가 삼성중공업 사고에서 증명된 셈이다.

정규직 노동자들에겐 휴일로 인정되는 노동절에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일하는 게 현실이다. 게다가 일어나기 어려운 사고까지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집중되는 현상을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산재사고에서조차 불평등이 만연해 있는 현실을 제대로 인정할 줄 알아야 대책 마련 역시 제대로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