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3차례 있었던 대선 후보 토론회가 인물 대결 위주의 토론이었다면 4차 토론회에서는 모처럼 정책 토론이 이뤄졌다. 안보와 경제를 주제로 한 토론에서 후보들은 이념 구도를 확연히 드러냈다. 국민의 선택지가 좀 더 선명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미 동맹을 비롯한 안보문제, 일자리 창출에서 인식차이 등은 차후 정부에서 문제 해결이 아닌 또다른 갈등요소임을 드러냈다. 좀 더 큰 틀에서 정책과 전체 국민을 이끌기에는 부족함을 드러낸 것이다.

선두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5000명의 전사자를 낸 월남전 패망에 대해 희열을 느꼈다고 한 자서전의 한 부분을 문제삼자 리영희의 <전환시대의 논리> 내용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월남전이 우리 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참전 희생에 대해 평가절하하는 진보진영만의 논리를 드러낸 것으로서 국민통합의 리더십에는 분명한 한계를 보였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사드체계 반대 논리도 중국이 그동안 북핵을 용인해 온 탓에 현재의 위기상황이 왔다는 보편적 사실을 간과했다는 오해의 여지가 있다. 상대 후보들이 주장하는 사드 배치와 전술핵 배치가 현 상황을 더 첨예하게 할 여지가 있으며 영구적 해결책이 될 수도 없지만 국민은 국내적 갈등을 해소하는 진일보한 정책을 아쉬워할 수밖에 없다. 경제부문에서도 문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공공일자리 확대로, 반대 측에서는 민간일자리 창출로 대결했다. 공공일자리 80만 개 공약은 당장 효과는 있을 것이고 유권자의 표심을 얻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국가경제를 발전시킬 방안으로는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장치산업과 대기업 위주인 산업현실을 직시한 중소기업 활성화와 계열화한 대기업 지배구조를 해소하는 방향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인 분배구조개혁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아쉬웠다.

또 한 가지 간과 말아야 할 것은 선두주자는 40% 벽에 막혔고 반등하지 못하는 후보들의 합종연횡 시도가 엿보인다는 점이다. 벽을 뚫을 정책대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쪽이나 밑천이 없으니 합해 보자는 쪽이나 스스로의 부족함을 어떻게 메워야 하는지 모르는 것 같으며 그것은 분명히 후보들이 풀어야 할 숙제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