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지역 코스피·코스닥 등록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대폭 줄어들었다. 창원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7.2%와 14% 하락했고, 코스닥 상장사도 각각 5.1%와 6.7%가 하락했다.

창원지역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 중에서 기계·철강금속·운송장비 업종이 작년 영업실적의 하락세를 주도했다고 보인다. 하지만 전국 상장사 평균보다 매출액과 수익성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매우 시급해 보인다. 먼저 이 대책 마련을 중앙정부에 돌리기보다 창원시와 해당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특히 창원시는 이런 결과를 단순한 시장 상황의 탓으로 돌리기보다 그 원인 규명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수출시장에서 문제가 있는 건지 혹은 내수시장에서 비롯된 문제인지부터 해명해야 대책 마련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중앙정부에 모든 걸 위임한다고 해결책이 그냥 나올 수는 없고, 오히려 답답한 지경에 내몰린 당사자와 지자체가 원인과 이유에 대한 규명 작업이라도 차분하게 한다면 해결책을 제대로 세우고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현재 사회적 관심이 대선에 쏠려 있긴 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으면 새 정부가 들어서는 것도 또 다른 현실이다. 새 정부에 불황에 내몰린 시장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을 세워달라고 칭얼대기만 할 게 아니라 지자체와 기업이 최소한 방향이라도 제시하면서 요청하는 모양새 갖추기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특히 다음 정부엔 정책적인 준비와 고려의 시간이 그 어느 때보다 부족하다는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 중앙정부가 모든 걸 해결해 줄 것이라는 기대 품기는 이젠 그만두어야 한다.

중앙정부에서 먼저 산업정책을 결정하고 예산을 편성하면 지자체는 이에 따라 집행 책임을 가진다고 주장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과정에서 지역사회 당사자들의 의견이 가장 우선으로 고려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탁상공론과 같은 헛발질이나 엇박자가 생길 수밖에 없다. 현재의 경제상황은 바로 이런 쓸데없는 시간낭비를 최소화해야 할 만큼 급박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