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갈수록 극성을 부리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미세먼지는 생소한 용어였지만, 어느새 봄철의 불청객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외출 시에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하거나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는 것도 일상 문화로 굳어지고 있다. 마스크 착용 없이 나다닐 수 없다는 중국 베이징 같은 도시의 경악스러운 환경오염 수준이 어느새 우리 일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도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주요 도시들에 비해 높다고 인정하고 있다. 2012년 기준 서울의 PM10과 PM2.5 농도는 각각 41㎍/㎥, 25.2㎍/㎥인데 반해 런던은 각각 19㎍/㎥, 16㎍/㎥로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경남의 미세먼지 문제는 더 심각해 환경단체들은 경남이 충남 당진 다음으로 높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대기오염 예보제를 도입해 실시간으로 미세먼지와 오존 농도를 공개하고 미세먼지에 따른 생활수칙을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의 근본 원인을 간과하는 이런 대응들은 근원적인 처방이 될 수 없다. 미세먼지의 원인은 봄철 황사 등 계절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지만 산업환경 측면이 크다. 특히 경남을 미세먼지가 심각한 지역으로 만든 요인은 삼천포·하동, 그리고 인근 광양과 여수의 화력발전소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50년 동안 석탄과 자동차에 의지해 압축성장을 한 한국 경제는 성장의 대가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누적해 왔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서라도 더 늦기 전에 산업구조를 개편해야 한다. 또 환경 관련 법과 제도를 다듬는 것도 필요하다. 미세먼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대선에 나선 주자들이 저마다 환경오염 대책을 약속하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법과 제도의 개선으로 2022년까지 미세먼지 절반 감소를 목표로 10만인 청원운동을 선언한 경남 환경단체들과, 도내 전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경남교육청의 행보 등이 차기 정부 정책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양적성장 전략과 기업에 치우친 산업정책을 바꾸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