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증감과 관계없이 장기·고령·여성 실업자가 여전히 많은 것은 산업 환경의 변화 때문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조업 등 ‘재래식’ 산업이 빠르게 경쟁력을 잃게 되면서 ‘구식’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노동시장에서 쫓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기술이 별로 없어도 취업해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해줬던 건설업이 장기 불황으로 쓰러지면서 고용흡수력이 크게 떨어진 것도 장기 실업 증가에 한 몫하고 있다.

나이가 40대 중후반 이상인 미숙련 실업자들은 현재 노동시장에서 저임금 임시 노동력으로만 팔려나갈 뿐 안정된 취업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실제로 지난해 말부터 학교를 짓는 공사 현장에서 일했던 강모(48·창원시 사파동)씨는 공사가 끝나면서 일손을 놓았으며, 12월부터 1월까지 2개월치 임금 150여만원도 못받은 채 놀고 있다.

실업대책범국민운동경남본부 김여용(여)씨는 “노동시장이 첨단산업과 재래산업으로 양극화된 데다 재래산업은 갈수록 흡수력을 잃고 있다”며 “50세 안팎의 노동자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쳐 적응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학교를 갓 나와 적응력이 뛰어난 신규 취업 희망자들과 아직도 쓸만한 노동력을 갖춘 30대들은 어쨌든 취직하게 되지만, 한계상황에 내몰려 있는 사람들은 별도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들을 위해 △공공근로사업 우선 배정 △재취직 훈련(구직 기술 습득 포함) △창업을 위한 자금대부 △취직시킨 업체에 고용촉진장려금 지원 등의 방안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실업극복범국민운동경남본부 등 민간단체에서는 이것만으로는 안정된 취업과 생계 유지가 안된다는 입장이다.

공공근로는 지속적이지 못하고, 무경험자가 불경기에 자영업을 하는 것도 위험한 일이므로 숲가꾸기·무료 간병·재활용품 수거 등 직접적인 이윤 추구 목적이 아닌 공공성 위주로 사회적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