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대 강 가운데 가장 수질이 깨끗한 섬진강은 전북 장수군 장수읍과의 경계 지역인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에서 발원해 전라남·북도의 동쪽 지리산 기슭을 지나 남해의 광양만으로 흘러든다.

하지만 강 상류에 댐이 잇달아 건설되면서 많은 양의 물이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농업용수로 빠져나가 강의 유지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강 하류의 수위 저하로 광양만에서 해수가 역류해 이제는 하동군 악양면을 거쳐 화개면까지 들어와 염도로 말미암아 농업용수와 비닐하우스 관수(灌水)로 사용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여기다 골재채취 금지 이후 강 하류는 퇴적토와 지장물로 말미암아 강 지류의 유량이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아 섬진강 제방 안쪽 농경지와 가옥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는 섬진강이 강이 아닌 습지로 변형되면서 재첩 서식지도 계속 줄어 하류지역 어민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정재철.jpg

강은 물이 흘러야 한다. 흐르지 않는 강은 죽은 강이다. 섬진강은 해를 거듭할수록 말라 강바닥을 드러내고, 습지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하구에서는 바닷고기가 잡히는 등 강 생태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처럼 강 본래의 기능을 상실해 가는 섬진강은 가까운 미래에 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의문이다.

따라서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섬진강 제방 안쪽 침수 피해와 재첩 서식지 감소, 바닷물 역류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제 퇴적토를 제거할 때가 아닌가 하천 관리청에 묻고 싶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