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가 다가오면 공약이 물밀듯이 쏟아지곤 한다. 오는 5월 9일 대선이 비록 급박하게 치러진다고는 하지만 출마자들이 제시하는 각종 공약은 예전 선거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물론 전국적인 공약도 있지만 지역개발과 발전을 앞세운 공약들이 여전히 쏟아지고 있다.

정치인들이 행하는 수많은 약속은 선거가 지나면 기억에서조차 사라지는 현실을 두고 허울만 좋은 빈 약속(空約)의 잔치라는 비아냥거림과 조롱만 판을 치곤 한다. 하지만 현실이 그런 줄 알면서도 공약에 마음 졸이는 평범한 시민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서민의 기대와 희망을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 우리 경제에서 기계류 중공업의 메카인 경남지역에서조차 미래 먹거리를 장담하기가 어려운 지경이다. 4차 산업혁명의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언론에서 외쳐대고는 있지만 정작 시민들이 피부로 절감하기에는 너무 먼 이야기일 뿐이다. 즉, 경남의 주력인 기계산업에 첨단 ICT(정보통신기술) 융합기술을 개발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화하겠다는 말을 평범한 시민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렵다. 쉽게 말해 시민들의 눈높이에서 보면 '3D'를 삼디라고 하든 스리디라고 부르든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자신이나 자식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 하는 사실에만 관심이 있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선거시기마다 정치인들의 공약이 얼마나 이행되었는지 하는 사실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 무엇을 얼마나 하겠다는 식의 거창한 약속보다 이전의 약속을 얼마나 충실하게 지켰는지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현재에 충실하지 않은 정치가 미래를 보장하는 약속과 기대를 만드는 건 어불성설이다. 따라서 정치인들은 우리가 처한 현실을 조금이라도 개선하려면 불필요한 수식어보다 오히려 솔직하고 담백하게 속사정을 털어놓을 줄 아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번 대선에서 유력주자로 거론되는 민주당 후보가 내세운 지역관련 공약은 모든 걸 하겠다는 식의 허튼소리 아니냐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성장의 한계에 다다른 제조업을 어떻게 하느냐는 고민도 분명히 담고 있다. 이전 정부가 팽개친 업무를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하겠다는 의지는 인정해 주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