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공약 실현 가능성에 무게를
어떻게 하면 현명한 선택이 될까

앞으로 20일 정도 지나면 국가 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게 된다. 바야흐로 어떤 사람을 우리의 대표로 뽑아야 할 것인가 신중히 생각해야 하는 순간이 다가온 것이다.

이번 선거의 성공적인 정착 여부는 유권자가 어떤 후보자를 선택하느냐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현명한 선택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이 관건이다.

유권자는 모든 정당·후보자의 정강·정책 및 공약을 서로 비교해 실현 가능성이 가장 큰 공약을 많이 제시한 후보자에게 투표하는 것이 매니페스토 정책선거라는 관점에서 볼 때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다.

그러면 매니페스토는 무엇인가.

매니페스토는 1834년 영국의 로봇 필 보수당 당수가 구체적인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 후 1997년 영국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노동당과 국민의 계약'이란 10대 비전을 발표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인 매니페스토를 제시해 집권에 성공, 매니페스토가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6년 5·31지방선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매니페스토는 선거와 관련한 일정, 예산방침, 실천방안 등 구체적 방안을 유권자에게 제시하는 공약을 말한다.

따라서 현명한 선택이란 것이 말처럼 쉽지가 않다. 특히 이번 선거는 국정농단 등으로 대통령이 탄핵당해 치러진다. 여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는 지지할 만한 후보를 선택하기란 어렵다. 그래서 투표를 할 마음을 잃어버리거나 붓두껍 가는 대로 찍고 말 수가 있다.

유권자로서는 투표를 하지 않든 생각 없이 투표하든 그 때문에 직접적인 책임추궁을 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결과 책임은 고스란히 유권자 자신의 몫이 되고 만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같은 말이 되겠지만 자질과 자격이 부족한 사람도 절대로 뽑지 말아야 한다. 무능력하면서 자기 욕심만 많은 사람은 국가와 지역발전, 그리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없는 데서 그치지 않고 오히려 더 어렵게 만든다. 능력은 있되 생각이 바르지 못한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유권자 기대에 정확히 들어맞는 인물을 선택하기란 쉽지 않다. 대신 부적격자를 선택하기는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지나치게 정치적 성향이 있고 거창한 공약만 나열하는 인물, 인신공격과 흑색선전을 일삼는 사람,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인사, 금품과 향응으로 표를 사는 후보자도 찍지 말아야 하고 용납하여서도 안 된다.

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해 그 모든 것을 알아내기는 거의 불가능한 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이러한 잘못된 선거 관행을 정책본위의 선거로 단절시켜야 한다.

황성만.jpg

선거는 정책에 의한 선택이어야 하고 정책 추진 역량과 자질에 의한 후보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매니페스토 운동이 선거풍토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정책 중심의 새로운 선거문화의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제 유권자들은 출마하는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을 꼼꼼히 따져보는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이것이 바로 아름다운 선거가 아니겠는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