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희망지 공모사업은 국토교통부가 가뭄에 대비하여 식수와 농업용수를 확보하고자 자치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정책화하는 장기적인 프로젝트다. 미래관점에서 접근하자면 그 필요성까지 부정하기는 곤란한 측면이 없지않지만 댐이 환경을 변하게 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나쁜 이면을 소홀히 여겨서는 안되기 때문에 논란을 증폭시켜온 것 또한 숨길 수 없다. 경남도가 최근 국토부에 올린 14곳 중 한 곳은 주민 다수의 생활터전인 마을이 수몰되는 것을 피치못하게 함으로써 사전 준비 부실을 드러냈다. 주민여론이 충분히 반영됐고 절차가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사후 반발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댐을 만들어도 좋다는 공감대 없이 자치단체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실행되었다는 뜻이 된다.

그렇다면 나머지 13곳은 후유증이 없는 것인가 하는 의아심이 생긴다. 없던 댐이 들어서면 지금과는 다른 생활환경을 겪게 될 것이고 그게 복이 될지 화가 될지는 예측불허다. 문제는 경남도가 시·군의 신청을 받아 국토부에 상달한 댐건설 희망지가 결과론적으로 낙동강을 버리는 반환경주의를 전제로 하고 있는 점이다. 무슨 말인가하면 대상지 모두가 낙동강수계에 있고 용도가 수량 확보보다는 식수용을 대비하고 있다는 혐의가 짙은 까닭이다. 다시 말해 녹조가 창궐하는 낙동강 물은 식수로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대용으로 댐물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취지는 그럴싸하다. 부산이나 울산에 물을 나누어주자는데 인색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낙동강은 어떻게 되는가. 영원히 버리겠다는 것인가.

서울 사람들은 한강물을 먹고 산다. 서울시가 부단하게 노력을 들인 결과다. 아무리 많은 댐을 지어 물을 가두어봐야 낙동강 수량을 이길 수는 없다. 영원불변의 진리인 것이다. 4대 강 사업을 통해 보의 부작용은 그 심각성이 예상을 뛰어넘는다. 곳곳에 설치된 댐이 물을 담아 유속을 방해하면 낙동강은 치유불능의 수준으로 전락할 것이다. 근본적인 원인은 고치려 들지 않은 채 쉬운 방법을 찾아 임시처방에 급급하다보면 낙동강은 살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조차 잃어버릴지 모른다. 댐과 보에 의존하는 환경정책의 야만성은 재고되어 마땅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