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이 바다화로 인한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밀물 때 바닷물이 하동군 상류까지 유입되는데 이로 말미암아 섬진강에 기대어 사는 농·어업인 피해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섬진강의 바다화는 정부 강 사용 정책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진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서둘러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피해는 더욱 심해질 것이 틀림없다.

하천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면 생태계뿐만 아니라 유역의 생활문화 전체를 전혀 다른 형태로 바꾸어 놓는다. 섬진강은 남해 연안 생활권과 지리산 생활권을 이어주는 뱃길로 화개장을 번성하게 했다. 그러나 상류에 댐이 건설된 일제 강점기 이후 화개장은 유명무실해졌고 광양제철 개발 후에는 하동읍 포구마저 제 기능을 잃었다. 물산 집화 구실을 잃은 하동은 심각한 경제적, 문화적 후퇴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지역 특산품인 재첩이 과다 염류로 인해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해 지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으며 하동읍과 고전면 등 강 유역 농경지 또한 막심한 염류피해를 입고 있다. 피해 어민과 농민은 하동군과 관계 기관에 대책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으나 인접 지자체와 유기적 협력이 안 되는 등 기초단체의 한계에 봉착해 있으며 책임을 져야할 중앙정부는 아직 어떤 대책도 없다. 정부는 1965년 섬진강 댐을 건설해 김제평야로 물길을 돌렸고 1990년대에는 주암댐과 다압 취수원을 건설해 광양제철 등 전남 동부권으로 물길을 돌려 섬진강은 50% 이상 유입 수량을 잃었다. 여기에다 섬진강 하구 매립으로 바닷물 유입량도 늘었다.

하천 정책은 4대 강 사업 실패에서 보듯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하천 유역민 자연권도 무시할 수 없다. 섬진강에는 이런 기초적인 정책이 전혀 없었다. 주목할 것은 상류지역 필요성만으로 물을 막는 것부터 분쟁 요소가 다분했다. 정부는 섬진강 정책을 다시 짜길 바란다. 국가적 필요성도 좋지만 하류 주민들이 피해를 보게 해서는 안 된다. 제3의 수자원을 개발하는 등 강물 유입량을 늘리는 방안과 섬진강을 온전히 흐르게 할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개발이익 재분배를 비롯한 섬진강 자연권 침해에 대한 대책도 나오길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