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5년 '34·32회'
전국에서 발령 횟수 가장 많아
공장 VOCs 관련 있는 듯…경부울 대기정책 통합 필요

경남에 오존주의보가 왜 자주 발령될까?

대기권 오존은 사람 호흡기나 눈을 자극하고 농작물에도 피해를 주는데 시간당 평균 오존농도가 0.12ppm 이상일 때 주의보가 발령된다. 주로 자외선이 강하고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집중된다.

폭염 등 이상기온이 심해 전국적으로 오존주의보가 많이 발령된 지난해를 제외하면 경남·부산·울산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발령 횟수가 많다. 경부울지역 오존주의보는 지난 2013년과 2015년에 각각 69회, 73회 발령됐는데 전국의 43%, 55%나 차지했다. 2014년에는 수도권에서 잦았다.

특히 경남은 두드러진다. 경남에서 오존주의보는 2013년과 2015년 각각 34회(21%), 32회(24%)로 같은 해 전국에서 가장 발령 횟수가 많았다.

04.jpg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관계 = 이는 경부울지역에 밀집한 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기 관련 기관의 정확한 분석이나 연구 결과물이 나온 것은 없다.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한 연구관은 "VOCs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 대기생활환경팀 관계자도 "기온 등 여러 가지 조건이 있는데 구체적인 분석은 없다"고 말했다.

오존은 자외선과 온도, 바닷가 인근지역, VOCs 등 여러 요건과 관계가 있다. 대기오염물질 중 VOCs은 자체로도 인체에 유해하지만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과 반응해 2차 오염물질 오존을 생성한다.

이 때문에 환경당국은 VOCs와 자동차 매연 저감을 위한 대책을 시행 중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VOCs 배출의 61.5%를 차지하는 도료업체 실태조사를 5월부터 한다. 경부울지역 점검 대상은 도료(유기용제) 제조(수입)업체 21곳과 판매(사용)업체 1841곳. 이 중 경남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다. 제조(수입)사는 11곳, 판매업체 361곳, 건축용·도로표지용·자동차보수용 등 사용업체는 478곳에 이른다.

◇경부울 대기정책은 각자 따로 = 오존주의보 발령이 잦을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배출이 많은 경부울지역 대기질 통합정책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땅에 경계가 있다고 해서 공기가 행정구역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경부울지역은 산업단지가 밀집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이 많은 곳이다. 낙동강청이 집계한 황산화물 배출량(9.7t/㎡)은 전국 1위,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연간 1만 8652t)은 전국의 35%를 차지할 정도다.

낙동강청이 하던 대기 업무는 현재 자치단체로 모두 이관됐는데, 경남도·부산시·울산시 따로 대기정책을 펴고 있다. 대기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동남권대기청을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낙동강청은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기질 정책·관리를 연계·조정하는 '동남권대기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낙동강청 환경관리과 안수정 기획관리팀장은 "지난해 대학에 연구용역 결과 수도권보다는 심각하지는 않지만 관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조사, 기관설립, 정책연계 등 활동방향을 어디로 잡을지 구체화해서 동남권대기협의체를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