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과 각 정당의 대선후보 선출로 전국적 관심사항에 묻혀 상대적으로 유권자 시선을 끌지 못하는 것이 4·12재보선이다. 중앙이나 지방 할 것 없이 대형 사건이나 정치적 흥행에 관심이 맞춰지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빚어지는 현상이다. 지난 주말부터 본 선거전이 막을 연 것과 동시에 후보들이 차량에 확성기를 달고 시가지를 누비는가 하면 골목길 유세에 나섰지만 반응은 신통치않다. 자기 동네 보궐선거에 누가 나왔는지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 흐름대로라면 투표상황은 보나 마나 저조할 게 뻔하다. 그래서 후보들은 애가 탄다. 소수라도 귀를 기울여주거나 하다못해 마주 보기라도 해주면 나으련만 그렇지를 못하니 출마는 했지만 선거운동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짜릿한 승리욕마저 반감되는 것이다.

대통령 탄핵국면을 맞아 워낙 실망감과 상실감을 크게 경험한 탓에 정치불신이 팽배해진 것을 원인으로 떠올릴 수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정치인 불신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주권재민의 은덕에 힘입어 선출된 선량들이 막상 자리에 오르면 권력의 노예가 되어 자기보다 더 큰 힘을 맹종하고 기득권 지키기에 혈안이 되는 반면 국민을 잊어버리는 망각증 환자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슬슬 선거 열기가 달아오를지 모르나 재보궐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달라질 여지는 그만큼 좁을 수밖에 없다. 선거는 규모가 크든 작든 지역 경제에도 반짝 특수를 가져오는 것이 상례지만 그 기대까지 어렵게 한다. 자치단체든 선거관리위원회든 유권자 무관심을 돌려 선거의 공익적 자산을 수량화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지역민에게는 지방선거가 더 체감적인 친근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현실성을 예사로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파당을 지어 패거리 정치에 익숙하고 그 때문에 주민 실익이 상처받는 경향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는 하지만 지방의원들이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을뿐더러 주민복리 증진에 개입할 수 있는 권리와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별히 유권자의식을 가동시킬 필요가 증대된다. 시시하다고 눈을 돌리거나 가볍게 생각지 말고 누가 후보로 나섰는지 누가 내 이익을 더 챙겨줄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봐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