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 년 전부터 미세먼지 문제 대두
늦었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 나와야

'PM' 하면 어떤 단어가 떠오르나요? 오후를 생각하는 사람이 가장 많을 테지만, 최근 시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미세먼지'라 답할 것이다.

먼지는 입자 지름이 10㎛(1㎛=100만분의 1m) 이하이면 '미세먼지(PM 10)'라고 하고, 2.5㎛보다 작으면 '초미세먼지(PM 2.5)'라고 부른다. PM은 particulate(미립자 상태)와 matter(물질)의 머리글자로 '대기 중에 떠도는 고체나 액체의 작은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약 70㎛인 머리카락의 30분의 1 크기다.

국내에서도 10여 년 전부터 초미세먼지 문제가 대두했지만 제대로 된 대책 없이 허송세월했다. OECD가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2011년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했으며 40년 뒤에는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것으로 예측하자, 그제서야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누구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미세먼지 문제에 경남교육청이 지난해부터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도교육청은 전국 시도교육청 가운데 처음으로 지난해부터 미세먼지 선도학교를 운영 중이다. 학생들이 직접 측정기를 들고 학교 주위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지난해 도교육청이 도내 20개 학교 중앙 현관에 간이측정기를 달고 분석한 측정치는 충격적이었다. 도내 모 초등학교는 측정치 평균이 53.2㎍/㎥로 우리나라 기준치인 50㎍/㎥를 훌쩍 뛰어넘었고, 또 다른 학교도 각각 46㎍/㎥, 45.7㎍/㎥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도교육청은 국가공식 미세먼지 데이터(우리 동네 대기질 AIR KOREA)를 분석해보니 창원, 진주, 양산지역 데이터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25㎍/㎥를 초과했고, 특히 24시간 평균 50㎍/㎥를 넘는 날이 20~23일이나 되는 곳도 4개 지역이나 된다고 발표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간파한 도교육청이 최근 부산에서 열린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박종훈 교육감이 직접 미세먼지 문제를 제안해 교육감협의회 차원에서 환경부에 기준 강화를 요청하기로 했다.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았던 미세먼지 문제에 관심을 두고 이를 바꾸고자 정책 제안까지 한 경남교육청의 문제 인식에 박수를 보낸다.

도교육청은 고속도로 부근, 도롯가, 산업단지 인근에 있는 학교가 미세먼지 공포에 취약하다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찾아냈다. 교육청이 나서 아무리 문제를 제기해도 지자체나 정부의 지원이나 대책이 뒤따르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주찬우.jpg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정부가 2020년까지 5조 원을 투입해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최근 밝혔다는 점이다. 분명한 점은 생물학적 약자인 학생들의 건강권은 기성세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숨쉴 권리조차 정부에 의존해야 하는 현실이 답답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