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가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놀라운 일은 2016년 한 해 동안에만 그 앞 3년 기간을 합친 것보다 한 배 반에 가까운 2.3%가 급증했다는 점이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국 25만 6000원, 경남은 20만 9000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가구는 훨씬 더 많이 지출하는 게 공공연한 사실이다. 학습지에 학원 두어 개만 하더라도 평균치를 금방 웃돌 터이니 실제 사교육비 부담은 주거비를 제외하면 가계부에서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셈이다.

주목할 점은 전체적으로 참여율이 떨어져 이제는 학생 3명 중 1명은 사교육을 받아보지도 못하는 형편이다. 그런데 소득격차에 따른 사교육비 격차는 더 빠르게 심화하고 있다. 작년도 소득 최상위 가구의 사교육비는 최하위 가구의 8.9배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6.4배보다 한 해 만에 2.5배나 더 벌어졌으니 소득 양극화와 함께 교육 양극화가 급격하게 확대하는 중이다.

게다가 지역별 격차도 엄청나게 심화하고 있다. 서울은 35만 2000원으로 경남은 서울의 4분의 3 수준에 불과하다. 사교육이 전부는 아니라 하더라도 소득과 지역 간의 불평등이 교육을 매개로 세대를 넘어 대물림되는 추세가 날로 구조화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상으로 보면 경남의 가난한 청소년이 좋은 대학에 진학한 뒤 양질의 일자리를 얻어 계층 상승을 이룰 기회는 점점 적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교육부는 여전히 공교육을 강화하겠다며 구태의연한 정책만 만지작거리고 있다. 그러나 대학서열화가 공고한 실정에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근본적으로 뜯어고치지 않는 한 사교육을 공교육이 대체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교육이 생계유지나 입신과 출세의 도구적 수단으로 전락한 상태에서는 해법이 안 보인다. 차라리 현실이 암울한 점을 인정하고 물질주의를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계서화되어 있는 삶의 틀을 바꾸는 데에서 교육개혁을 출발해야 답이 보일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