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5일: 백남기 농민 사망. 도내 곳곳에서 추모 및 농성집회 이어져.

2016년 10월 24일: 저녁, JTBC 최순실 태블릿 PC 보도.

2016년 10월 25일: 노동당 마산당협 1인 시위 및 정당연설회. ‘박근혜 퇴진’ 도내 첫 행동.

2016년 10월 25일: 양산, 창원지역 백남기 농민 사망 추모 집회가 박근혜 하야 촛불집회와 결합해 매일 추모농성장 인근에서 촛불집회 시작.

2016년 10월 31일: 창원대학교, 경남대학교 등에서 박근혜 하야 학생 대자보 등장.

2016년 10월 31일: 경상대학교 교수, 노동당 마산당협 시국선언문 시작으로 12월 6일까지 총 33건 시국선언문 발표.

2016년 11월 1일: 거제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고현터미널 앞, 현대차 사거리)

2016년 11월 2일: 김해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외동사거리, 시민의 종 건너편 광장)

2016년 11월 4일: 창원시 정우상가서 제1차 경남시국대회 촛불집회.

2016년 11월 4일: 사천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삼천포 운동장 사거리, 탑마트 오거리)

2016년 11월 4일: 거창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거창군청 앞)

2016년 11월 5일: 진주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진주 차없는 거리)

2016년 11월 7일: 통영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강구안 문화마당)

2016년 11월 7일: 하동군, 박근혜 규탄 현수막 불허.

2016년 11월 9일: 남해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남해읍 사거리)

2016년 11월 16일: 경남 400여 단체 모여 ‘박근혜퇴진경남운동본부’ 출범.

2016년 11월 16일: 창원시 진해지역 첫 촛불집회

2016년 11월 17일: 창원시 내서읍지역 첫 촛불집회

2016년 11월 17일: 고성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2호광장)

2016년 11월 18일: 함양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동문네거리)

2016년 11월 19일: 제4차 경남시국대회를 창원광장서 첫 개최. 시민 약 1만 명 참가.

2016년 11월 22일: 안상수 창원시장, 창원광장 시국대회 사실상 허용.

2016년 11월 25일: 합천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합천축협)

2016년 11월 25일: 함안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쌈지공원, 가야읍 사거리)

2016년 11월 25일: 영남루 앞에서 청소년 집회, 밀양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영남루 앞)

2016년 11월 26일: 창녕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창녕석빙고 앞)

2016년 11월 26일: 하동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하동시외버스터미널)

2016년 11월 26일: 의령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KT앞 너른터)

2016년 11월 30일: 창원시 봉림동 촛불집회. 이후 창원시 사파동, 대방동, 명곡동, 웅남동 등 동 단위 촛불집회 수 차례 이어져.

2016년 12월 1일: 경남대학교 도서관 광장서 촛불집회.

2016년 12월 1일: 산청지역 촛불집회 본격 시작(산청문화원 앞)

2016년 12월 3일: 제6차 경남시국대회 개최. 시민 약 1만 명 이상 최다 인원 참가.

2016년 12월 6~8일: 각 지역 새누리당 국회의원 사무실 인근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촉구 릴레이 1인 시위.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찬성 234표)

2016년 12월 18일: 창원광장서 김제동과 함께 하는 만민공동회

2016년 12월 27일: 김재경, 이군현, 여상규 등 도내 비박계 국회의원 새누리당 탈당.

2016년 1월 12일: 새누리당 경남도의원 13명 바른정당행. 같은 달 17일에도 대규모 탈당.

2017년 2월 15일, 18일, 26일, 3월 1일, 3월 5일: ‘탄기국’ 등 친박단체 진주, 마산서 태극기 집회 개최.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박근혜 대통령 파면.

2017년 3월 10일~11일: 창원, 진주, 김해, 사천, 양산, 거제, 통영, 거창, 함안서 ‘박근혜 퇴진’ 각 지역별 마지막 촛불집회 개최.

05.jpg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