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먹고사는 문제만큼 절실
불평등 해소해야 경제발전도 가능

3·8 세계여성의 날 역사는 일하는 여성들의 존재를 드러내고 여성의 권리를 요구하며 시작됐다. 1908년 3월 8일 미국 뉴욕 루트거스 광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이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와 '여성의 선거권'을 요구했던 것이 1922년부터 3월 8일 '여성의 날'로 정착됐다. 한국 여성의 날은 일제 탄압으로 끊겼다가 1985년 3월 8일 '1차 한국여성대회'로 부활해 2017년 33회를 맞았다. 경남지역은 1988년 경남여성회와 경남지역 총여학생회 등이 '3·8세계여성의 날 문화한마당'으로 시작, 이후 경남여성단체연합 주도로 올해 29차 경남여성대회를 맞이했다.

한국여성대회는 매년 3월 8일, 여성의 현실을 진단하고 여성 권익을 신장하고자 중점 과제를 선정해 공동실천 의지를 모은다. 2017년 한국 사회의 여성의 주장은 무엇인가? 올해 한국여성대회 핵심의제로 낙태죄 폐지, 성별임금격차 해소, 여성정치대표성 확대, 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한다.

여성의 몸은 국가 출산정책의 도구가 아니다. 국가가 여성을 '낙태죄'로 처벌하며 출산율을 높이겠다는 정책을 반대한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OECD 가입 국가 중 14년째 '1위'이다. 단지 '여성'이란 이유는 비합리적이며, 이는 성차별이다. 한국여성의 임금은 남성 임금의 약64%, 그렇다면 여성은 8시간 노동 중 3시간은 무임금이다.

20대 국회 여성 의원은 17%로, 세계 평균(22.3%) 이하이다. 경남 여성국회의원은 0명이다. 여성정치인비율이 자연성비보다 낮은 것은 결과적 평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성별, 장애, 병력, 나이, 언어, 출신국가, 출신민족, 인종, 피부색, 출신지역, 출신학교, 용모 등 신체조건, 혼인여부, 임신 또는 출산, 가족형태 및 가족상황, 종교,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전과,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학력, 고용형태, 사회적 신분 등을 이유로 합리적 이유 없이 이뤄지는 차별을 구체적으로 금지(예방)하고, 불합리한 차별을 겪는 사회적 소수자들을 구제해야 한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 꼴찌, 경남의 전국 성평등지수 만년 하위. 그러나 우리 사회는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 해결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 이미 세계적으로 불평등을 해소해야 경제발전도 가능하다고 인식한다. UN에서는 제4차 여성대회(1995) 때 새천년 과제(MDG)를 ,이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과제(SDG)로, 최악의 불평등지점인 성차별을 해소하려했다. 기업과 국가의 의무도 강조하며 남성과 성평등실천운동(HE FOR SHE)도 시작했다. 최근 우리 사회도 'HE FOR SHE'운동에 지자체·기업체·기관 대표 등이 동참한다. 정책결정권자가 거의 남성인 한국사회에서 그들이 성평등에 앞장서면 더 급속히 진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김경영.jpg

여성혐오살인 사건 이후 남녀화장실 분리. CCTV, 성범죄자 처벌 강화를 말하지만 여성은 '보호받지 않아도 안전한' 그런 세상을 원한다. 여성이 외모로 평가받거나 성적 대상이 되기를 거부한다. 사회가 여성을 보는 눈을 바꾼다면 폭력·치안·범죄 처벌 비용도 줄이고 여성도 자유롭고 모두 행복할 수 있다.

해마다 세계여성의 날이면 잠깐 생각하는 여성문제가 아니라 같이 잘 살기 위한 공감대가 필요하다. 성평등 과제는 먹고사는 문제, 죽고 사는 갈림길의 문제로 절실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