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개발 재공모의 핵심은 창원시가 땅값을 낮춰 공공성을 띤 건축물과 도심에서 즐길 수 없는 해양 관련 휴양 레저 시설을 만드는 일이다. 창원시가 아파트를 최소화하고, 마산해양신도시를 '아파트 숲'이 아닌 '문화·관광·레저 도시'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2차 공모에서 더 강력해진 것은 다행이다. 부영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될 당시만 하더라도 민간투자자 모집 공모에 응하는 업체가 거의 없어 애를 먹었으나, 재공모에서 국내 굴지의 건설사 13곳 관계자들이 현장설명회에 모습을 드러내 관심을 보인 것에 창원시는 고무적이라고 평가한다.

시민들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 창원시가 아파트 건설 규모를 제한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음에도 국내 유수 건설관계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에는 여러 가지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그동안 창원시와 시민사회단체가 아파트 중심의 개발계획에 반대한다는 태도를 고수해 오면서 기존 도시 상권과 재개발을 앞둔 아파트 등 기존 주민의 이해관계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시민들의 중소 상권보호를 위해서는 대형마트 건립 등은 포기하고, 공공성을 담보하는 병원 등을 건립해야 한다는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새다. 이번에 창원시는 관광호텔을 건립해야 한다는 조건을 새롭게 달았고, 아파트 건설 규모가 590가구를 넘으면 공모 심사 때 감점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업 신청자가 단독이라 하더라도 1000점 만점 중 800점을 넘어야 우선협상 대상 자격을 주기에 사실상 아파트 규모를 늘리려는 시도는 차단됐다. 결국 기업에서 어떤 방법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느냐가 관건인데, 창원시도 큰 그림만 제시할 뿐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는 터여서 앞으로 협상 과정에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현실적인 문제는 해양신도시 매립지의 분양가가 싸야 공공성을 가진 도시건설이 가능하다. 다행히 창원시장이 미래 50년, 100년을 내다보는 개발이 되어야 하고 아파트 숲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한 말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덧붙여 시민단체가 주장해온 공공성에 입각한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개발계획을 시민 전문가와 기업 등이 협치해 모범적인 해양신도시개발을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