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 여부가 빠르면 이번 주 말, 늦어도 내주 초에는 결정 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턱밑까지 바짝 다가선 헌재의 선고를 앞두고 벌어진 지난 주말 찬반집회가 세 대결을 과시하며 열기를 띤 원인도 초읽기를 의식한 긴장감이 반영된 탓일 것이다. 선고가 있기까지 헌재를 압박하는 크고 작은 시위가 예고될 뿐만 아니라 인용과 기각에 따른 양 진영의 불복시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선고 후에도 사회정치적 혼란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이제 남은 일은 헌재 결정에 승복하는 대승적 자세와 함께 어떻게 하면 갈등과 불신을 최소화하고 국민통합을 일구어내는 지혜를 모으냐는 것이다. 탄핵이든 기각이든 시민들은 자신의 소신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헌법상 권리를 간섭받지 않았다. 수백만 명이 모여 서로 다른 주장으로 대치하는데도 큰 충돌없이 평정을 유지함으로써 세계에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유감없이 전달했다. 비록 거친 말이나 협박성 막말을 쏟아내 불안과 두려움을 유발한 과격한 일면도 없지 않았으나 군중심리가 빚어낸 혼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모든 것들을 묻고 예전의 질서를 회복하는 길은 인내심을 갖고 조용히 기다리며 지켜보는 것이다. 헌재를 자극할 수 있는 어떤 막말도, 그리고 대중의 안녕을 훼손하고 불안심리를 충동질하는 어떤 언행도 하지 말아야 한다. 대통령 대리인단도 친박단체도 할 수 있는 노력을 집중한 만큼 이제는 차분한 마음가짐으로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그런 후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재판관들 또한 위협에 굴하지 않고 오로지 사법적 정의에 따라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당장 이익이나 현상에 일희일비할 것이 아니라 선고 후의 국론분열을 어떻게 봉합할 것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물론 근원적 책임은 대통령의 몫이다. 그러나 정치권도 그 범주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은 드러난 사실이 여실히 증명하는 바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국정농단의 방관자로서 책임을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당분간 모든 정치행위나 대권행보를 멈추고 탄핵선고 후의 사회상황을 어떻게 안정화하고 질서를 회복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머리를 맞대지 않으면 안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