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하반기 경남 고용조사에 따르면 도내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창원시가 고용률과 실업률이 가장 나빴고, 통영시가 다음을 차지했다. 조선산업 불황으로 이런 결과는 이미 예견됐다고 하더라도, 경남에서 군이 아닌 시 단위의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사실은 고용시장의 상황을 반영한 결과이다.

노동시장에서 고용이 적어지고 실업자가 늘어나는 건 경기가 나빠진 결과로 단순하게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시장의 상황변화에 따라 앞으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낙관론을 견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 보인 고용시장 악화와 가계부채 증가라는 경제지표를 서로 연관지으면 현재의 경제상황은 위기가 발생하기 직전의 전조로 볼 수 있다. 물론 지난 몇 년간 가계부채 증가가 폭발적으로 진행된 이유는 부동산 경기활성화라는 명목으로 이뤄진 기록적인 저금리 상황이 맞물려 있는 중앙정부의 경제정책 때문이다. 따라서 고용지표와 가계수지 지표를 직접적으로 연관짓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는 있지만, 결론적으로 보면 서민생활은 시간이 갈수록 나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이런 맥락과 조금 달리 군과 시로 구성된 경남의 고용통계에서 군 단위는 농·어업 관련 종사자가 과다 대표되면서 잠재적 실업자를 반영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시 단위의 고용통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조선산업 불황 여파를 직접적으로 보는 통영과 거제를 넘어서서 공장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은 창원과 양산에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점이다. 말 그대로 고용경기 불황이 전 지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경남의 도시 지역에서는 지난 몇 년간 부동산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했다는 사실까지 더하면 현재의 경제상황을 결코 가볍게 보기 곤란하다.

현 경제상황을 중앙정부가 제대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경남이라는 지역의 특별한 경제상황이 아니라 전국적인 상황변화를 반영한 결과로 보아야 한다. 이런 상황에선 오히려 대선국면을 좀 더 능동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즉, 대선주자마다 현재의 경제위기 국면을 돌파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하면서 논의를 집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