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6 사회지표'에 따르면 한국은 2014년 기준 합계출산율 1.21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한국의 낮은 출산율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현재 20~30대에게 따라다니는 'N포 세대'라는 호칭에 출산과 육아를 선택할 수 없는 현실이 담겨 있다.

지난 24일 발표한 고용노동부 조사에서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가 7616명으로 1년 전보다 56.3% 늘었다고 한다. 하지만 성별 육아휴직 비율에서 남성은 8.5%에 그쳐 아직도 대부분의 육아는 여성들이 전담하고 있다. 여기서 남성 육아휴직 참여가 늘었다고 해서 우리 사회 육아와 돌봄 문제에서 반가운 변화가 될 수 있는가? 또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변한다고 해서 현재 육아와 돌봄의 역할에 얼마나 큰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가?

2015년 창원시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 사업 중 우수사례로 선정한 '다문화지원(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사업은 육아와 돌봄의 고정된 역할에서 변화의 물꼬가 되지 않을까 한다. 이 사업은 창원시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찾아가는 아버지 교육'으로, 전통적인 아버지의 역할인 생계부양자에서 부부·가족 간 소통을 통한 역할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또한 이 교육은 남성 대상 특강과 직장을 찾아가는 교육을 통해 학부모와 군인·제대군인·직장인 등 다양한 남성들을 참여시켰다. 가족 간 자녀, 부부, 아버지 역할에 대한 변화 시도는 고무적이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좀 더 두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가족 간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진행을 제안한다. 특히 결혼이민여성들에게 전통적인 아내·엄마의 역할을 강요하기보다 남편과 시어머니 등 새롭게 구성된 가족 속에서 불평등한 관계가 해소되었으면 한다. 이런 변화를 시작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출산과 육아는 누구나 함께 키우고 돌보는 분위기가 되기를 바란다.

신미란.jpg

이 기고문을 끝으로 성 주류화 정책 모니터링단 '젠더N'의 릴레이 기고는 마무리된다. 창원시는 2017년에 어떤 사업과 정책으로 시민의 만족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