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계획하는 수정산업단지 조성이 난국에 빠졌다. 현지 지역주민들과 산업통상자원부의 반대뿐만 아니라 관련 기업과는 송사에 휘말리다 보니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부딪히고 있다.

수정산단 조성계획은 30여 년 전 이 일대를 매립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당초 조선기자재 산업단지라는 특성화 공단으로 계획되었지만, 주민 반대로 이 사업이 좌초하면서 수정산단 조성계획은 표류해 왔다. 2015년 창원시는 수정산단을 제2자유무역지역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승인을 불허하면서 그 시도는 초라하게 끝났다. 이후 공해 유발업체가 아닌 청정산업인 전자·전기·로봇 관련 업종을 유치해 달라는 주민들의 주장을 고려해 기업유치에 나서곤 있지만, 현재까지 성과는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공단 터는 있지만 들어올 기업이 없는 상태가 계속 유지되다 보니 지역주민들의 불만은 쌓일 수밖에 없다. 여기까지 과정을 살펴보면 누구의 책임이 가장 큰지는 분명하다. 즉, 이전의 마산시에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개별 기업의 도움으로 매립과 개발을 해서 공단을 만드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나선, 가장 먼저 해야 할 지역주민 의견 청취를 맨 마지막으로 하면서 사업 중단이라는 극단적인 결정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지역주민들의 이기심 때문에 사업이 망가진 게 아니라 사업 결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전제되어야 하는 주민 참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문제가 커질 대로 커진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리고 지역주민 입장에서 공해와 소음을 유발하는 기업이 아니라 청정기업을 유치해달라고 하는 걸 지나친 욕심이라고 말하기는 곤란하다.

기업유치가 정말로 불가능한 게 현실이라면, 차라리 창원시가 이제는 주민들에게 솔직하게 전후 사정을 밝힐 필요가 있다. 창원시가 결자해지의 자세로 이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수정산단 조성이 어렵다는 사실을 지자체와 주민들이 동시에 확인하고 인정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이런 과정이 있어야 수정산단 조성 터를 이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답을 찾기가 수월해질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