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관리심의위, 매립안 검토"산업 전망·수요 긍정적"통과

정부 승인을 앞둔 거제 해양플랜트국가산단 조성계획이 가장 큰 고비를 넘겼다. 거제시 사등면 조성 예정지 중 316만㎡에 해당하는 해면부 매립계획이 승인됐다.

14일 오후 세종시 해양수산부에서 열린 '중앙연안관리심의회'에서 '거제해양플랜트 국가산단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반영' 안건이 상정됐다. 정부 공무원 7명과 민간 전문가 8명 등 15명의 심의위원이 이날 제기한 최대 쟁점은 해양플랜트산업 전망이었다.

"공유수면을 매립해 해양플랜트 국가산단을 건설할 만큼 산업 전망이 있느냐", "산업단지를 만들면 입주업체는 얼마나 될 걸로 보느냐"는 요지였다.

이에 대해 경남도 정책자문기관인 산업연구원 홍진기 연구원이 이렇게 제시했다.

"저유가로 해양플랜트 수요가 급감했지만, 신흥국 에너지수요 증가와 육상·천해지역 자원 고갈로 2020년 이후에는 회복세를 보일 것이다. 이에 대비해 국가 차원의 해양플랜트 생산거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

"수입에 의존하는 핵심기자재 국산화와 생산 효율성 측면의 모듈화를 위해 기자재 업체를 집적시킬 대규모 산업단지가 필요하다."

"국내 501개 해양플랜트 업체를 대상으로 국가산단 입지 수요조사를 한 결과 43개 업체가 입주를 희망했다. 희망면적은 246만㎡를 넘어 계획 중인 산단 내 산업시설면적의 142%로 초과했다."

그 결과 심의위원들은 공유수면 매립계획을 가결했다. 심의위 회의에 참석한 류명현 도 국가산단추진단장은 "국가산단 설립 최종 승인을 앞두고 가장 큰 난관이 해결됐다. 이게 결정이 안 되면 다른 모든 절차가 진행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산단 예정지 공유수면 매립계획이 승인됐지만 해양플랜트산업 전망은 여전히 거제 해양플랜트산단 조성과 운영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경남도의회 강민국(바른정당·진주3) 의원은 지난해 예산결산심사 때 "지금 전 세계 에너지소비 추세는 신재생에너지 쪽으로 가는데, 바다 밑 땅을 파서 천연가스나 석유를 뽑겠다는 해양플랜트산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엄밀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경남도는 공유수면 매립 승인 이후 남은 절차로 '공유수면 협의의견 해양수산부가 국토교통부에 통보→환경영향평가 본안 환경부에 제출→4월 중 환경영향평가 협의→5월 중 국토부 국가산단 최종 승인 심의' 등을 제시했다.

해양플랜트국가산단은 국비가 아닌 실수요자조합(SPC) 추진 방식으로, 강서산단과 SK건설컨소시엄·거제시 등이 공유수면 매립비용부터 산단조성 전 과정과 경비를 책임진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