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업단지 내에서 공장으로 가동하지 않는 유휴 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기계류 특화 생산 단지로 출발한 창원국가산업단지의 흥망과 부침이 공단의 땅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공단에서 유휴 터가 생기는 첫 번째 이유는 특정 기업이 새로운 주인을 장기간 찾지 못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이렇게 발생하는 유휴 터 문제는 시간 문제로 봐야 할 뿐이다. 때가 되면 새로운 주인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급하게 새로운 관리조치를 만들 필요는 없다. 공단 유휴 터가 생기는 다음 이유는 과거 기계류 산업이 지녔던 특성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다. 즉, 기계류 업종의 경우 과거에는 대규모 생산시설로 넓은 땅이 요구되었지만 시대의 변화와 함께 바뀌어 버렸다. 특히 기계류 산업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끊임없이 진행된 생산의 외주화로 대표되는 생산 방식과 경영관리의 변화와 함께 고용 규모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 다시 말해 기계류 산업이라 하더라도 과거처럼 땅이 넓은 공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게 더 이상 현실과 맞지 않을 수 있다. 기업들이 필지 분할 매각방식을 선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게다가 필지 분할에 대해선 창원국가산단의 관리를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창원시의 행정적 충돌도 존재하고 있다. 창원시는 '창원국가산단 내 지식산업센터 건립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내세워 현재 1만㎡ 이상 필지의 분할 매각을 금지하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의 '창원국가산업단지 관리 기본계획'에는 1만㎡ 이상과 이하와 관계없이 필지 분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국가공단의 관리를 담당하는 산업부 내규와 필지 분할 인·허가권을 가진 지자체 사이에 해석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창원공단 이용의 단기적 효율성을 책임진 경남본부와 창원공단의 장기적 지속성에 방점을 찍는 창원시의 태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또한 필지 분할로 소규모 기업 중심으로 유치될 경우 공단의 경쟁력이 낮아질 가능성에 대한 창원시의 우려도 분명 의미가 있다. 우선 두 기관의 뚜렷한 견해차는 존중해야 한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방식을 찾는 노력도 이제는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