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발생한 구제역이 심상치않다. 충북 젖소농장이 첫 발병지로 확인된 이후 채 일주일도 안된 사이에 경기·전북 등 3개 지역 4개 집단 사육장에서 소 1000여 마리를 살처분하기에 이르렀다. 제1종 가축전염병인 구제역은 전염속도가 빠른 데 비해 잠복기가 있어 백신접종으로 예방활동을 강화한다 해도 경로를 파악하고 대책을 세우기까지 난관이 따르기 십상이다. 그런 만큼 효과적인 예찰에 지장을 준다. 특히 이번 것은 예년에 없던 변종, 알려진 대로 혈청형 중 A형이 새롭게 발견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아직 항체 형성에 필요한 백신도 마땅치않다고 하니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그에 따라 경계경보를 최고단계인 '심각' 수준으로 발령했다고 하니 정도의 무거움을 실감하기에 모자람이 없다고 할 것이다.

발병지가 거리상으로 경남과는 멀어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다고 여길지 모르나 결코 안심할 게 못 된다는 것을 경남도나 농장주, 영세 가축농들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6년 전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는 거리가 가까운 관계로 즉각 박멸자세를 갖춰 중요 길목에 소독장을 설치하고 소와 돼지는 물론이거니와 관계 농민과 관련자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등 전력을 다했지만 결국 방역망에 구멍이 뚫려 큰 피해를 보았음을 기억해야 한다. 일단 주말까지 전국의 소를 대상으로 백신 예방접종을 끝냈으므로 조기 진압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조류인플루엔자(AI)로 수백 수천만 마리의 닭과 오리 등 가금류가 매몰 처분돼 농민들 시름이 이만저만 깊지 않은 터에 구제역을 제때 잡지 못한다면 농민은 물론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예사롭지 않을 것이다. 경남도가 나름대로 행정력을 기울여 AI에 대처함으로써 양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많은 지역이 비교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진력했음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구제역은 대상이 소와 돼지뿐만 아니라 양과 염소 등 대형 가축이기 때문에 미리 막지 못하면 피해는 천문학적이다. 소요경비나 보상비용이 엄청나게 든다.

심각 경보가 발령됐으므로 대비태세는 갖추고 있겠지만 조금도 허점을 보여서는 안 된다. 소독장 설치와 함께 자가접종을 하는 대규모 축산농은 공무원들이 일일이 점검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