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도 농사…지혜로운 농부돼야
못된 일엔 항상 '두각'보인 제자

학교를 퇴직한 지 몇 해가 지나고 나니 수시로 울리던 전화벨도 잠잠해지더니, 어떤 날에는 온종일 전화통이 울리지 않을 때도 있다. 하루는 휴대전화에 입력되지 않은 전화가 울려 또 이상한 전화가 왔나보다 하고 전화를 받는 순간 "선생님!" 맞으시죠? 하는 목소리가 들려 반사적으로 귀를 기울였다. 30여 년 전 가르친 학생이었다. 이런저런 안부를 묻고는 "제가 지금 인천에 살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생각만 하다 지냈다"면서 "시장에 가는데 꽃게를 보낼 테니 나중에 버스터미널에서 찾아가시라" 하곤 전화를 끊었다. 오래된 기억 속의 제자가 보내온 선물을 받아들고 만감이 교차했다. 이미 퇴직한 지 몇십 년이 지난 옛 선생님에게 선물하기가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러고 보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참 많은 세월이 흘렀다. 교직생활 중에 수많은 학생이 사회로 진출했다. 지나고 보면 모범생들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도 애를 많이 먹이던 아이, 툭하면 사고를 친 학생이 더 궁금해진다. 그 당시 내가 맡은 3학년에는 다들 눈살을 찌푸릴 만큼 이른바 문제(?) 학생이 유독 많았다. 나는 마음속으로 담임 복이 지독히도 없다며 혀를 찰 정도로 문제반만 연속으로 맡게 되었다.

얼마의 시간이 흐르자 예상했던 대로 한 학생이 반에서뿐만 아니고 학교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 학생은 공부에는 아예 관심도 없었다. 특별한 이유 없이 반 학생들에게 폭행을 일삼고,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려고 그랬는지 손에 수건을 감아 유리창을 깨는 것도 흔히 보여주었다. 이렇게 몇 달이 흐른 후 중간고사를 치고 난 이후 학생은 아무 이유도 없이 1주일 정도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집으로 찾아가니 부모님은 내놓은 자식이라 모른다는 대답뿐이었다.

하루는 어떤 학생이 등교를 하지 않아 이유를 물으니 문제의 그 학생이 산속에서 움막을 치고 숙식을 하면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잡아 금품갈취는 물론이고 다른 학생들까지 학교에 가지 못하게 잡아 둔다고 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움막으로 찾아가니 바위를 굴려 위협을 가하기도 하고 돌을 던져 다가가지 못하게 했다.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었다. 나는 끝까지 움막에 들어가 학생을 설득해 상급학교까지 진학시켰다. 내게 꽃게를 선물한 제자가 바로 그 학생이다.

제자는 그동안 선생님 소식을 알면서도 찾지 못했다면서 학창 시절을 생각하면 그저 죄송한 마음뿐이라고 했지만 지금에 와서는 어느 졸업생보다도 더 멋지고 의젓한 사회의 큰 버팀목으로 변해있었다. 한창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앞으로 이 학생이 어떻게 될 것이라고 장담을 할 수 없다. 학교 다닐 때 작은 행동 하나를 보고서 그 사람을 미리 예측 평가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인지 종종 깨닫게 된다.

김학규.jpg

흔히들 자식을 농사에 비유하기도 한다. 알곡은 논에 뿌리고 쭉정이는 마당 한 구석이나 빈터 어딘가에 던져버린다. 하지만, 비가 오고 난 며칠 후면 정말 경이로운 장면을 보게 된다. 정성들여서 논에 뿌린 알곡보다 쭉정이인 줄 알고 마당가에 버린 낱알이 더 싱싱하게 자라고 있다는 것을. 이 진리는 아마도 지혜로운 농부만이 알아차릴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알게 모르게 한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그 사람의 전부를 평가하고 그것도 모자라 남에게까지 나의 어리석은 생각을 전하게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