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10월 18일을 부마항쟁 기념일로 제정했다. 항쟁이 일어난 지 37년을 훌쩍 넘겨서야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은 만시지탄이 없는 것은 아니나 창원시민뿐 아니라 전 도민의 이름으로 축하하고 가슴 깊이 새겨야 할 일이다.

부마항쟁 관련 지역의 관심은 그동안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았다. 부산과 마산이라는 두 지자체가 관련되어 있고 최초 발생지인 부산이 기념사업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산을 품에 안은 창원지역이 부마항쟁에 대한 관심이 결코 적었던 것은 아니었다. 지역의 중요한 정신적 유산인 3·15 기념사업에 집중하다 보니 관심이 덜한 것처럼 보였을 뿐이다. 또한 3·15와 부마항쟁은 독재 정권에 대항해 시민이 일어선 같은 맥락의 민주화 항쟁이었다. 3·15의거는 지역민들의 끈질긴 노력에 힘입어 지난 2010년 국가기념일로 제정되었다. 이제 부마항쟁까지 창원시 기념일로 제정됨으로써 창원시는 명실상부한 민주화의 성지로 거듭나게 됐다. 그러나 기념일이 제정됐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창원시는 안상수 시장의 의지로 지난해부터 부마항쟁 기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하지만 창원시가 이렇게 하기까지에는 시장의 인식과 역할이 절대적이었다는 것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다음에 등장할 다른 시장에 따라 부마항쟁 기념사업이 지역에 확고하게 뿌리내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염려가 있는 것이다. 부산시는 부마항쟁 기념사업을 노무현 정부 이래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 이래 예산은 반토막 났고, 서병수 시장 취임 이후 적어도 부시장급이 참여하던 기념일에 국장급이 참여해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이런 부산시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기념사업을 제대로 안착시키고 지역의 정신적 유산으로 길이 빛낼 지역민들의 마음이 모여야 한다. 관련 조례와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흔들림 없이 이어져야 한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 농단은 엄밀하게 말하면 국민의 민주주의에 대한 의지가 약화하였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할 수도 있다. 민주주의를 수호한 우리 지역이 다시 민주주의가 뿌리 깊게 내리는 향도가 되길 기원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