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도의원이 새누리당을 버리고 바른정당행을 택한 데 대해 말이 많을 이유는 없다. 그들은 따뜻한 보수가 되겠다거나 깨끗한 보수를 지향한다고 목청을 돋우고 있지만 객관적 관점으로 보기에는 그 성향이 오십보백보일 뿐이어서 어느 게 백말이고 흑말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 전략적 분당 후 합당할 것이라는 확신할 수 없는 소문이 나돌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런 와중에서나마 다행인 것은 도의회가 일당독점 체제에서 벗어나 다당화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일 것이다. 정치적 연대감을 공고히 함으로써 도가 제안한 각종 사업이나 정책에 대해 의회가 일사천리로 처리했던 지금까지의 밀월관계가 깨지고 앞으로는 좀 더 철저한 검증과 토론이 따를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정치적 공동운명체에 그로써 금이 가고 주민이익이 의제의 중심가치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졌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바른정당으로의 탈당 도미노가 여의도정치에 종속되어 일어남으로써 정치의 중앙집권화가 빠르게 확산하는 것을 확인하는 일은 썩 유쾌하지 못하다. 도의원들의 탈당이 바른정당에 합류한 3명 국회의원의 지역구 출신 의원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런 현상이 공천권과 연계돼 있다는 것은 상식이다.도의원들의 탈당사태는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는다. 시·군 의원들이 뒤를 따라 같은 대열에 뛰어들 것이 틀림없고, 그렇게 되면 파급력은 대규모 지각변동으로 연계될 것이다. 당분간 줄서기와 눈치보기가 지역 정치권을 강타함으로써 덩달아 주민도 곤혹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중앙이 감기에 걸렸을 뿐인데 지방은 몸살을 앓아야 하는 웃지 못할 기현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에 찬성을 보내지 않을 수 없다. 도의원이나 기초의원들이 대통령 탄핵 국면을 맞아 여권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통감하고 새로운 가치창달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모를까 지금과 같은 이합집산식 정치행위가 지역 자율성과는 무관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바른정당의 창당과 지방의원 대이동이 피치 못해 일어났다고는 하나 지역정서는 여전히 중앙의존적이다. 타파해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