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 정당화하는 폭력적 언어 '친하다'…피해자 주장 배척에 관계까지 강제 규정

의적 홍길동은 성폭행을 통해 태어났다. 그를 낳기 전 아버지 홍 판서가 낮잠을 자다 용 꿈을 꾸고 나서 안방에 들르니 부인이 있었다. 부인을 본 판서는 갑자기 '친하고' 싶어져서 손목을 잡아끌다가 대낮부터 상스럽게 무슨 짓이냐며 면박만 당한다. 부인이 속 좁다고 한탄하며 나오던 판서의 눈에 마침 지나가던 시비 초란이 들어오자, 부인 대신 '친해진다'. 홍길동은 그렇게 해서 세상에 나왔다. '친하다'는 성관계를 맺는다는 뜻이 있지만, 맥락을 뜯어보면 이처럼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명성을 이용하여 출판사 직원이나 명망이 없는 시인들을 성추행에 가깝게 희롱한 사실이 들통난 소설가 박범신은, 성폭력 가해 혐의자들이 빼도 박도 못하는 처지에서 흔히 하는 변명을 입에 담았다. 친해지고 싶어서 그랬다는 것이다. '친하다'라는 수평적 관계를 떠올리는 말로써 실은 전혀 평등하지 않은 일방적 행동을 숨기려고 했다는 점에서 박 씨의 변명은 작가답지 않게 치졸하고 야비하기까지 하다.

권력의 개입은 말의 뜻을 뒤집어놓는 데 능란하다. 자유, 법치, 법질서, 애국, 안보, 소통 따위 말은 나쁜 권력이 정권을 잡았을 때 여지없이 왜곡당했다. '친하다'는 말도 권력자의 언어이며, 성폭력뿐 아니라 모든 폭력적이고 위계적인 상황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 왕따 가해자도 피해자와 친해지고 싶어서 괴롭혔다고 변명한다. 문제는 왕따 가해자와 피해자가 친한 사이로 보일 수 있다는 사실. 당연한 말이지만, 따돌림이나 괴롭힘은 서로 잘 아는 사이에서 일어나지 교류가 없거나 모르는 관계에서 일어날 수 없다.

남들 눈에 가해자와 피해자가 친한 사이로 보인다는 사실이 가해자로서는 얼마든지 자신의 행동을 친함 때문이라고 정당화할 수 있는 구실이 되어준다. 그러나 가해자의 그물에 걸려든 피해자로서는 친한 사이로 보이는 수렁을 빠져나오기 힘들다. 거미줄에 걸린 희생자가 자신을 감싸안고 토닥토닥 두드리는 거미에게 저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권력이 작동하는 관계는 그런 것이다. 자신을 괴롭히는 자를 쳐죽이고 싶을지언정 그와 친하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 없지만, 한 공간에서 겉으로는 사이 좋은 척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피해자의 숨통을 조인다.

성희롱 가해자와의 합의가 결렬되면서 사건을 노동당 경남도당 당기위원회에 회부하자 가해자는 말을 바꾸었다. 나와 친한 사이이며, 내가 먼저 친구 하자고 접근했단다. 엇갈리는 가해자의 진술을 내게 확인해 주지 않은 도당 당기위도 우리가 친한 사이로 보이니 가해자만의 잘못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동료일 뿐 친구가 아니라는 내 주장은 배척되었다. 친한지 안 친한지 하는 사적 관계까지 나는 강제로 규정당한 셈이다. 쟤들은 친한 사이인가 봐. 그럼 그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지. 가해자한테만 잘못을 물을 일이 아니잖아. 졸지에 나는 피해자이면서도 나에게 가해의 책임을 물어야 하는 일부 가해자가 되어버렸다. 관계를 함부로 규정당한 것도 방망이질을 당한 기분이지만 친한 사이라면 희롱이 일어날 수 있다는 판단은 성폭력에 대한 개념조차 빈약한 것이다.

그동안 '친하다'는 것에 대해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던 내게 희귀한 기회를 준 노동당 경남도당 당기위원회와 가해자에게 고맙게 생각한다. 그 사유가 얼마나 깊었던지 신경정신과를 가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게 했다.

정문순.jpg

여성 동료들이 결코 내 편이 아니라는 당연한 진리도 덤으로 얻었다. 그들도 같은 조직에 있는 한 가해자와 '친하게' 지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가해자의 영향력을 봐도 나와 비교할 수 없다. 성평등이나 페미니스트 용어를 입에 달고 사는 개인이나 조직이라고 해서 곧이곧대로 믿을 것도 아니며 사람은 천 마디 말이 아니라 작은 행동 하나로 평가해야 한다는 사실이 부동의 진리임을 새삼 확인한 것이 가장 큰 수확인지 모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