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업단지와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지난 70~80년대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한일합섬을 비롯한 향토기업인 무학소주 등 많은 기업들이 이 지역경제의 중심 축으로 금융기관과 언론 등을 설립하면서 부와 권력을 한 손에 거머쥐었다.

그런데 이러한 성장과정에는 마산만 오염이라는 그림자가 늘 드리워져 있다. 과거 이렇게 마산만이 공장의 오폐수로 하천생태가 죽어가고, 바다의 오염이 가속화되어도 창원공단의 기업과 마산지역의 기업들이 나서서 마산만을 살리는데 적극 나선 일을 본적이 없다. 한마디로 돈만 벌면 되지 환경오염은 강건너 불보듯 한 것이다.

이렇게 30여년의 세월 동안 마산만 유입부에서 축적된 크롬과 납 그리고 수은을 비롯한 중금속과 다이옥신·PCB의 검출은 심각한 상황이다. 더 이상 마산만을 방치하는 것은 1960년대 일본의 미나마타에서 공장폐수로 인한 공해사고로 7000여명이 사망하거나 어린이들이 기형아로 살아가고 있는 오염사고를 재현할 수도 있다.

이제는 논의의 수준을 뛰어넘어 지역의 모든 기업인들을 비롯한 시민들이 나서야할 때이다. 그리고 언론과 환경단체가 마산만을 살릴 해법을 내어놓은 것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우선 환경문제 관리 체계가 일원화되어야 한다. 지난 2월1일 동양기전의 크롬유출사고 이후, 나흘 뒤에 일어난 봉암공단의 폐수유출사건을 보면서 지금 창원공단과 봉암공단지역은 상시적 오염사고 예측지역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2건의 유출사고를 발견한 사람은 감독공무원이 아닌 일반시민이다. 이렇게 볼 때 낙동강환경관리청·경상남도·마산시·창원시·환경단체·공단지역내 기업체협의회가 참여하는 오염사고 대책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

다음으로 폐수처리시스템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재정적·구조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산만 오염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공단지역의 폐수유출 사고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전담기관인 낙동강 환경관리청의 인력보강 및 고도기술장비도입을 위한 재정지원이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환경부는 마산만으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관로를 완결하도록 지자체에게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