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조류인플루엔자(AI) 청정 지역으로 남아 있던 경남마저 뚫렸다. 이제 남은 지역은 제주도뿐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이미 살처분된 닭·오리도 2000만 마리를 넘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이번 AI 확산에는 언론의 지적대로 어수선한 정국과 맞물려 적극적인 차단 노력이 부족했다. 경남만이라도 방역 등 모든 노력을 쏟아야 한다. 농가 피해도 엄청나지만 이러다가는 국민 식탁이 위협받고 가뜩이나 생활고를 겪는 서민들에게도 고통을 줄 것이다.

경남에서는 양산에서 처음으로 AI가 발생했다. 양산시 상북면 일대는 경남 최대의 양계 집산지이다. 하루 생산되는 달걀만 해도 100만 개 정도이다. 이 지역이 살처분 등으로 사육을 못 하게 되면 달걀 대란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당국에서는 500m 이내 범위로 살처분을 하고 철저한 방역을 할 것이라고 했지만 다시 한 번 방역에 허점은 없었는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불과 며칠 사이 고성에서도 AI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미 창원시 주남저수지와 창녕군 우포늪에서도 고니 등에서 AI가 발생하기도 했다. 경남 전역이 AI에 노출된 것이나 다름없다.

AI로 말미암은 피해는 이제 해마다 벌어지는 연례행사처럼 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의 조처는 발생지역 주변에 대한 살처분과 방역, 이동제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AI를 퍼뜨리는 주범이 철새들이라니 이들을 오지 못하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보면 당국의 확산 방지 노력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AI가 우리나라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나라처럼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지는 않다. 일본의 성공 요인을 검토해 적극적으로 실행해 봄직 한 것이다. 초동 대응에 문제가 있는 것도 개선해야 한다. 농가들의 안일한 인식도 문제이다. 살처분과 농가 보상이 능사가 아니다. 살처분으로 말미암은 오염 등도 심각한 수준이다.

AI는 문제가 발생하면 호들갑을 떠는 정도로는 해결될 수 없다. 관계 당국과 농민이 같이 상시적인 방역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근본적인 방제책으로 AI에 대한 연구 투자도 있어야 한다. 할 수 있는 일도 안 하면서 철새 타령은 인제 그만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