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고성군에서 활성단층이 발견됐다. 경남 서부지역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경주 남쪽의 지진으로 경남 동부지역을 비롯해 전 국민의 지진에 대한 공포가 현실화된 터에 이런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은 그 파장이 적지 않다. 그렇지 않아도 경남은 고리 원전을 비롯한 원전 밀집지역과 인접해 있다. 도민으로서는 민감할 수밖에 없다. 지진은 철저한 경각심과 아울러 내진 설계 등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비가 필수조건인데 경남도 차원의 대비는 거의 걸음마 수준에 머물고 있다.

활성단층이라고 해서 당장 지진이 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진은 예고가 거의 없다. 지진에 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와 대비가 돼 있는 일본이 지진피해를 보는 것이 단적인 예이다. 철저한 대비와 예방적 조치가 없으면 언제든지 백두산 폭발로 멸망을 초래한 발해와 같은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경남도와 기초자치단체들의 지진에 대한 대비는 거의 전무한 수준이다. 경주 지진은 우리 국민에게 정부의 재난 조처가 어떤 수준인지 여실히 보여 주었는데 지역 차원에서는 더 한심한 수준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월성 원전과 신고리 원전 등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중지와 신규 건설 중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지만 지방 정부 차원의 대응은 없었다. 재난 경보 시설 확충 등 가장 기초적인 조치도 걸음마 단계이다.

가장 큰 문제는 경남도와 기초자치단체들이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대단히 허술하다는 것이다. 고성군은 활성단층이 발견되었는데도 이를 조사, 연구할 생각은 없이 하던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이래서는 사후약방문마저 기대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경남이 지진 공포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려면 먼저 원전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6.5 규모 지진이면 원자력 발전소가 견뎌내질 못한다. 24기의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내진 성능을 7.0으로 보강한다지만 위험을 고려한다면 숫자놀음에 지나지 않는다. 폐쇄와 건설 중단이 답인 이유이다. 건축물의 내진설계 의무화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 이것은 최소한의 대비책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