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창원시정연구원이 인구 유출을 막을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가장 중점을 둔 과제는 주택시장 환경 개선이다. 또 이 중 핵심은 역세권 일대에 1인 가구 맞춤형 주택을 공급한다는 내용이었다. 사실 창원시는 인구 유출 이전에 가구 변화에 예민하게 대응했어야 했다. 1~2인 가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진작에 고려했다면, 3인 이상 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공동주택 공급 과잉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었다. 창원에만 내년부터 2019년까지 3만여 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비록 창원시 대책이 늦었다고 보지만, 다양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방향은 반갑기도 하다. 치밀하게 계획을 세워 인구 유출을 막고 도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에서는 1~2인 가구가 살 수 있는 주택이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사회주택 또는 공동체주택이라는 이름으로 소득이 낮은 이들을 위해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를 내는 집이 생겨나고 있으며, 소득과 관계없이 함께 집을 지어 더불어 사는 사람도 늘고 있다. 이미 오를 대로 올라버린 땅값 때문에 도심에서 주택 지을 땅을 확보하는 일부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동욱 기자.jpg

하지만 지자체와 주택도시공사, 민간 공급자와 주택 수요자가 협력해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다. 지자체가 소유한 땅을 저금리로 장기간 민간 공급자에게 빌려주고, 공급자는 임대료 등 수익으로 이를 갚아나간다. 오래된 여관이나 사무실 등을 새롭게 단장해 주택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도시재생 차원에서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사례다. 생각이 비슷해 함께 살려고 주택협동조합을 꾸린 이들에게도 융자 혜택 등을 제공한다. 이런 사례를 취재하면서 느낀 것은 지자체만 의지를 보인다면 얼마든지 이런 협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