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가 거듭되면서 창원광장을 둘러싸고 창원시와 집회 주최 측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창원시 의창구청은 지난 19일에도 광장의 사용 관련규정을 근거로 집회를 불허한다고 통보했다. 하지만 경찰이 막지도 못하는 불허 방침만 고집하는 행정관청의 태도를 두고 창원광장이 도대체 누구의 것이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눈에 보기에 예쁜 잔디로 가꾸어진 창원광장은 언뜻 보면 부잣집 앞마당을 연상하게 한다. 또한 창원시가 주장하는 광장사용 규정이라는 것도 자신들이 하면 합법이고 반정부 집회는 불법이라는 아전인수 격의 해석도 가능해 보인다. 물론 다중이 모여서 집회를 하게 되면 잔디관리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지만, 창원광장이 도대체 왜 존재해야 하는지부터 이번 기회에 따져보아야 한다.

본디 광장은 민주주의 장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즉, 수많은 대중이 모일 수 있는 곳에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토로하면서 다중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장소가 광장이다. 흔히 말하는 광장 민주주의는 광장이라는 공적 공간에서 직접 민주주의 정신에 따라 시민들의 요구를 담은 정치적 의제로 발전시키는 데서 비롯된다. 독재라는 정치체제에서 광장이 금기어로 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광장에서 분출되는 다양한 요구와 주장 자체를 체제에 대한 도전이자 반대로만 여기는 편협함에서 비롯된다. 특정 개인이나 지배세력의 마음에 맞지 않으면 불법과 금지라는 딱지만 붙이는 행위는 민주공화국이라는 정치체제에서 사라져야 하는 낡은 관습이다. 특히 사법부가 최근 촛불집회에서 경찰의 공권력 집행권보다 국민의 의사표현 권리를 우선한다고 결정하는 이유도 헌법에 기초를 둔 민주공화국이라는 정치체제의 권력정당성에서 기인한다. 즉, 이 나라의 주인은 시민이라는 사실이 지극히 당연하다면 광장 역시 시민의 것이 될 수밖에 없다.

행정관청이 현실과 더 이상 부합하지 않는 법 규정을 들먹이는 건 행정집행력을 스스로 갉아먹는 우둔한 행위이다. 그렇다면 이번 기회에 창원광장을 각종 집회나 행사의 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방안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창원광장을 시민 누구라도 상시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바꾸는 개선방안을 행정관청이 먼저 생각하길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