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남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경남발전연구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예산 분석을 백미로 꼽을 만하다. 예산이 과다계상됐거나 아니면 너무 적어 역할이 제한적이라는 비교평가라면 그저 그러려니 하고 예사로 넘길 수 있는 일이기는 하다. 하지만 내용의 확실성은 그런데 있는 것이 아니라 책정된 연구예산마저 소비하지 못하는 연구원 자체의 무능을 질책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경남발전연구원은 연구경비 전부를 다 쓰지 못했다. 겨우 절반 정도만 소비하는 데 그쳤을 뿐만 아니라 올해는 그 선마저 넘기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게 무슨 의미인가. 단순계산으로는 연구원들이 연구 업무에 전념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올해에는 특별히 교육감 주민소환 서명작업에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내부 고발에 이어 원장이 공석인 기회를 틈타 사무처장이 정년 규정을 삭제하는 등의 전횡으로 내홍을 겪었다. 이러한 이유 탓에 업무 연속성이 중단됐다고는 하나 연구원의 존재 이유가 경남도의 공공 싱크탱크로서 경제·산업·도시·환경 등 각 방면의 학술적 기반을 구축하는 일을 맡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부실한 연구가 수반할 부작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연구원은 자가진단을 통해 원인을 연구원의 부족에 두고 있다. 현재 활동 중인 14명의 연구원으로는 도와 시·군의 용역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고 자체적으로 소화해야 할 부수적인 연구 업무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단 착수하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전문분야라 일리가 없지는 않다.

그러나 의회가 지적했듯 연구원들이 다른 기관 자문에 응하거나 원외 출강으로 시간을 뺏겨 본업이 뒤로 밀리는 폐단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경청할 필요가 있다. 열악한 급여 체계나 자율성이 배제된 연구경비로 말미암아 그러한 현상이 유발되는 것이라면 그것은 그것대로 심각하게 고려돼야 마땅하다. 그와 함께 경남발전연구원은 성격상 연구 업무 외 외부적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측근인사나 정치적 외풍이 지금의 실적 부진을 일으키는 데 원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는지 이번 기회에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