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마산회원구 소재 3·15의거기념관이 박정희 전 대통령 치적을 홍보하는 영상물을 게시하고 있는가 하면 박근혜 대통령의 대형 사진을 전시장 벽면에 부착해 논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에 맞닥뜨린 것은 좀 지난 일이지만 개선이 되지 않았었다. 건립 당시에는 물론 그러한 이해되지 않는 발상이 비집고 들어설 자리는 없었다. 3·15민주묘역이 어떤 곳인가. 이승만 독재 정권에 항거하여 분연히 일어섰다가 희생된 민주열사들의 영령이 잠들어있는 성역이다. 기념관은 말할 것도 없이 불의한 정권에 맞섰던 위대한 시민정신을 재조명하고 넋을 기림으로써 후세에 민주주의를 어떻게 쟁취하고 가꾸어왔는가를 증언해주는 살아숨쉬는 교육장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그런 만큼 군사 독재 정권의 홍보영상물을 돌리거나 현직 대통령의 전신사진이 들어설 공간이 있을 수 없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그 두 개의 홍보물이 방문객들을 맞기 시작했다.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가짐으로 그곳을 찾은 방문객이나 역사체험을 위해 단체 참배에 나선 중·고생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든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서로 비교하게 함으로써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옷깃을 여미게 하는 지표로 삼는다면 모를까 민주성지에 독재자를 칭송하는 선전물이라니 부조화의 극치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3·15마산시민항쟁이 우리나라 민주주의에 초석을 놓은 것은 틀림없지만 그게 박근혜 정부와 어떻게 연관성을 갖는단 말인가. 3·15의거기념관이 최근 박 대통령 사진을 철거하고 박정희 홍보물 가동을 중지하는 조치를 취한 것은 만시지탄이긴 하나 기념관의 정체성을 되찾는 데 들인 충정은 높이 살 만하다.

국가보훈처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없어 어쩔 수 없었다고 변명할지 모르지만 애초 문제가 제기되고 시중의 화제로 회자했을 때 바로잡았더라면 지금과 같은 뒤늦은 시행착오는 예방할 수 있고, 따라서 신뢰상실의 어리석음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잔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대통령 사진은 내려졌으나 홍보영상물은 정지돼 있다뿐이지 상황변화에 따라 다시 켤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것을 포함하여 혹시라도 남아 있을지 알 수 없는 반민주적 흔적들을 말끔히 정리하여 3·15의거기념관의 순수이성을 보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