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 관련 단체와 실무위원들이 진상규명위원회 활동 참여를 거부했다. 위원회 운영과 구성이 객관성을 잃었다는 것이 거부 의사의 주된 주장이다. 이로 볼 때 그동안 위원회 내부적으로 갈등이 있었고, 위원회 활동도 부진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위원회가 삐걱거려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 책임 여부를 떠나 독재정권에 맞섰던 부마항쟁의 의기와 숭고한 희생을 욕되게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진상규명위 활동을 거부한 단체는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부마민주항쟁경남동지회 등이다. 실무위원 사퇴의사를 밝힌 위원은 4명이다. 이들은 진상규명위 2기 구성에 뉴라이트 계열 인사가 2명 포함되어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어려울 수 있고 과거사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절차적 문제는 없었다고 해도 역사관에 문제가 있어 보이는 인사들을 위촉한다는 것은 위원회의 원만한 활동을 위해서도 지극히 위험한 발상이다. 진상규명위는 2014년 출범할 때도 중립성과 전문성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진상규명위 관계자는 이들 단체와 개인들이 빠진 상태에서 위원회 운영이 가능한지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지만 뉴라이트 계열 인사들이 포함되면 부마항쟁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할 것은 자명하다. 진상규명위가 같은 사상을 가진 이들만으로 꾸려지는 것은 왜곡 등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거니와 독재에 저항한 부마항쟁의 근본정신에 상처를 주는 것이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그동안의 위원회 활동 실상으로 볼 때 2기 활동 후인 내년에 제대로 된 진상규명보고서가 나올 수 없다는 주장이다. 제대로 된 조사와 새롭게 발굴된 자료가 없는 부실한 자료로 보고서를 만든다면 위원회가 존립할 이유도 없는 것이다. 진상규명위 활동을 거부한 단체들은 독자적인 진상규명 작업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렇게 되면 두 개의 보고서가 나올 수 있으며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는데도 논란이 끊이지 않을 것은 뻔하다. 진상규명과 관련하여 명심해야 할 것은 부마항쟁의 숭고한 가치와 피해자 명예회복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