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 대피시설, 지진 대피장소 총정리…우리마을 가까운 재난 대피시설 찾아보세요

최근 잇따른 지진으로 경남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이 드러났다. 이어 발생한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경남 전역은 '물바다'가 됐다. 과연 지진이나 태풍 등 재난을 당했을 때 도민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

◇재난 일어나면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 대부분 지자체의 경우 재난이 발생했을 시 주민들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대피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는 경남도 마찬가지다. 본보가 18개 시·군을 전수조사한 결과 경남에는 총 1161곳의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이 있다. 큰 재난이 발생하면 주민들은 지정된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대피하고, 잠시 지내게 된다. 시설별로는 학교가 478곳으로 가장 많고, 마을회관 432곳, 경로당 90곳, 관공서 88곳, 교회 10곳, 기타시설 63곳이다. 시·군별로는 창원시가 185개소로 가장 많고, 거제시가 104개소로 그 뒤를 이었다. 합천군이 25개소로 가장 적었다.

표표.jpg
▲ 경남 18개 시·군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현황. / 박성훈 기자

한편 창원시와 밀양시, 함안군, 창녕군, 산청군, 합천군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외에도 지진에 대비해 '지진대피장소'를 따로 지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지역은 지진이 일어났을 때 별도 대피장소를 지정하지 않고 다만 주민들에게 "넓은 곳으로 대피하라"고 안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양산시 재난안전과에 따르면 "지진대피장소는 따로 정하지 않고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통일하고 있었다"며 "그래서 지진 발생시 주민들에게 넓은 곳으로 대피하라는 안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진이 그친 뒤 이재민이 됐거나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 불안하면 앞서 언급한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이동하게 된다.

인근 광역시·도는 어떨까? 부산은 지진대피장소가 따로 없고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221개소가 지정돼 있었다. 울산도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270개소만 지정돼 있었다. 반면 대구는 지진대피장소 362개소(운동장 61개소, 공원 295개소, 기타 6개소)가 따로 있었고, 경상북도도 지진대피장소 745개소(운동장 528개소, 공원 72개소 기타 145개소)가 정해져 있으며 심지어 담당자 연락처까지 홈페이지에 공개돼 있다.

◇내진 설계는 "알 수 없다" = 그렇다면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의 내진설계는 어떻게 돼 있을까? 이에 대해 경남도 뿐만 아니라 각 시·군에서도 일제히 '정확하게 답할 수 없다'고 했다.

경남도 재난대응과 관계자는 "내진설계는 이재민 수용시설로 지정된 곳이 담당한다"며 "현황까지는 알고 있지 않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이후 취재가 계속되자 "10월 말까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의 내진설계 여부를 전수조사 중에 있다"고 답했다.

명서중학교.jpg
▲ 창원시 지진대피장소로 지정돼 있는 명서초등학교. / 박성훈 기자

이어 18개 시·군에 문의한 결과도 동일했다. "이재민 수용시설은 아무래도 공공기관이나 학교로 대부분 지정돼 있다"며 "학교나 기관에 관련된 사항은 도교육청과 시설 담당관의 소관이라 내진 설계가 돼 있는지 시·군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경남도교육청 홍보안전담당실 관계자에 문의한 결과 '일반 재난대피시설'로 지정된 거제중앙초, 밀양 동명중학교 지하시설, 진주 명신고, 창원유목초, 창원합성초 등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했으며,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지정된 학교의 내진설계 여부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창원대학교 건축공학 전공 윤태호 교수는 "내진설계가 안 된 학교 같은 곳에 대피했을 때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상태는 아니다"며 "선진국도 우리처럼 공공시설이나 학교에 주로 대피하지만, 학교 같은 경우 일반건물 보다 훨씬 강하게 내진설계를 하도록 돼 있다"고 했다. 이어 "내진설계가 된 개인 거주시설에서 내진설계가 안 된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대피하는 것이 현명한 것인지는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그렇다면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은 지진이 아닌 다른 재난에는 안전할까?

경남도 재난대응과에 따르면 이번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창원 8곳, 양산 4곳, 남해 1곳의 공공시설이 피해를 입었다. 그 중 양산양주중학교와 경남외국어고등학교가 침수 피해를 입었는데 이 두 곳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지정된 곳이다.

유목초등학교.jpg
▲ 창원시 지진대피장소로 지정돼 있는 유목초등학교. / 박성훈 기자

◇관계기관, 아직도 허둥지둥 = 한편, 경남도-시·군-교육청 간 유기적인 연계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보가 지난 9월 22일 경남도에게서 받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현황에 따르면 18개 시군의 임시거주시설은 총 1334곳으로 기재돼 있었으나, 확인해 본 결과 시·군 자료와는 차이가 컸다. 예를 들어 사천시의 경우 경남도 자료에는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현황이 138곳으로 돼 있었지만 실제 사천시에 문의한 결과 66곳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남도에 이의를 제기하고 다시 자료를 요청했지만 2차 자료에서도 오류는 여전했다. 결국 기자가 직접 18개 시·군에 연락해 자료를 취합한 결과 1161곳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학교도 수치가 맞지 않았다. 경남도교육청 홍보안전담당관실에서 제출한 자료에는 400개 학교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지정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18개 시·군에서 취합한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로 지정된 학교 숫자는 478곳이었다. 이에 경남도교육청 홍보안전담당관실에 문의한 결과 "시·군별로 직접 하나하나 세었기 때문에 정확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지자체나 교육청 중 어느 한 곳에 오류가 있는 셈이다.

지진대피장소로 지정된 곳도 오차가 있었다. 예를 들어 창원시 지진대피장소 자료에 따르면 대원초등학교의 경우 1500제곱미터(약 455평)에 불과하지만 무려 1만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재난안전과 관계자는 "일부 수치에 오류가 있는 것을 인정한다. 태풍 피해가 수습되는 대로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렇듯 재난 대응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조차도 아직까지 체계가 잡혀 있지 않은 상태였다.

*아래 첨부파일은 경남지역 이재민 임시거주시설(대피소) 전체 목록입니다. 한글문서로 작성했으며 PC에서 열어보실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