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지자체들이 추진하는 서민자녀 맞춤형 교육지원사업을 두고 말들이 나오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서울업체가 이 사업을 맡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또 다른 목표가 퇴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도내에도 대학과 청소년 교육단체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도 전문성을 갖춘 서울업체들이 현재 이 사업들을 쓸어 담아가고 있다. 또한 일선 지자체가 추진하는 자체사업을 두고 광역자치단체가 권한을 행사하기도 곤란한 상황이다. 하지만 지역주민의 희망을 사업에 반영하는 걸 일차적 목표로 하는 기초자치단체 처지에서 질적으로 낫고 우수하다는 평판을 받는 업체를 선정할 수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다. 특히 자녀교육 문제에선 비타협적인 성향을 보이는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인식을 고려하면 일선 지자체의 결정을 두고 왈가왈부하기 곤란해 보인다. 그러나 서민자녀 맞춤형 교육지원 사업의 구체적 내용 자체가 화를 불러들이고 있다. 즉, 이 사업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나 습득사업이 아니라 지역밀착형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도모하고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사업의 거창한 취지와 달리 사업내용이 낙후지역에 실력 있는 강사가 포진하는 사설학원이 없는 현실적 어려움을 땜질식으로 대체하는 정도로 채워져서 문제이다. 물론 이 사업의 한 부분인 대학생 멘토링 사업이 존재하긴 하지만 지역에 기반을 두고 할 수 있는 사업의 부재는 이 사업을 사교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경감해 주는 역할로 전락시킨 셈이다. 다시 말해 구체적 사업으로 만들어야 하는 창의적인 내용은 전혀 없고 현재의 수월성 교육을 보조하는 역할에만 한정된 셈이다. 이런 내용으론 지역업체가 서울업체와 경쟁을 하기조차 당연히 어려울 뿐이다. 모든 학생들 요구를 충족하기가 어려운 한계는 분명히 있지만 학교 교육을 연장하거나 보충하는 사업이 과연 얼마나 효과적일지 일선 지자체에서 먼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서민자녀 교육지원 사업이 정말로 맞춤형이 되려면 화상이나 인터넷을 통한 단순 지식전달이 아니라 청소년의 실제 고민을 담아주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년·소녀 가장이나 조손가정과 한부모가정의 청소년들을 위한 '키다리 아저씨'와 같은 사업이 있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