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낙동강부터 살려야 해…댐으로 바꾸면 강은 더 회복하기 어려워"

4대강사업 이후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하면서 식수원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경남도가 식수원을 강에서 댐으로 바꾸는 식수정책을 펴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환경단체는 '낙동강을 살려야 하고, 무분별한 소규모 댐 건설은 안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경남도 재난안전건설본부 이동찬 본부장은 9일 오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식수정책을 발표했다. 경남도는 기존 낙동강물을 원수로 사용하고 있는 주민들을 위해 강물에서 댐으로 식수원을 바꾸기로 했다.

현재 진주를 포함한 서부경남에는 남강댐 물, 일부 중동부 지역에는 밀양댐 등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지만, 창원과 김해, 양산, 함안 등 도내 전체 인구의 55%가 넘는 도민들은 낙동강 취수 원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경남도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1조 3000억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낙동강을 정화하고 있지만, 산업과 생활폐수로 인하여 많은 비용을 투자해 관리해도 1급수가 되기 어려우며, 상류지역의 유해 화학물질의 유출 등 사고에도 취약한 실정"이라 했다.

경남도는 "깨끗하지 않은 상수원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의 수돗물 음용률은 5.4%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식수정책을 대전환하여 유럽형 식수댐 건설 등을 통해 모든 도민들이 깨끗한 수돗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1단계로 낙동강 물을 원수로 사용하는 창원, 김해, 양산, 함안 등 4개 시군, 170만명의 도민들에게 1급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합천 조정지댐을 활용하고 중소규모 댐을 건설할 계획이라 밝혔다.

합천 조정지댐 활용으로 50만톤, 중․소규모 댐 건설로 20만톤 등 총 70만톤의 1급수를 확보할 수 있어, 170만명의 도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1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것.

또 경남도는 시군별로 소규모 자체 식수원 확보 등으로 40만톤의 1급수를 확보하여 비소 검출 등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은 간이 상수원 등을 대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IE002018564_STD.jpg
▲ 경남도 재난안전건설본부 이동찬 본부장은 9일 오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식수정책을 발표했다. / 오마이뉴스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에 추진되고 있는 문정댐(일명 지리산댐) 건설 계획도 세웠다. 경남도는 "2단계로는 문정댐 건설 등을 통해 여유수량을 부산․울산에도 공급할 계획"이라며 "문정댐 건설로 46만톤, 강변여과수를 사용하거나 개발하고 있는 61만톤 등 총 107만톤을 부산․울산 등에 우선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라 밝혔다.

경남도는 "물은 지역에 국한된 자원이 아니라 국가자원이므로, 문정댐 건설을 통하여 부산, 울산 등 인근 지역에도 공급하겠다는 것"이라며 "물 문제로 인하여 영남권 지역간에 이견도 있었지만, 경남도의 획기적인 식수정책 전환으로 영남권 상생발전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동찬 본부장은 "국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댐 희망지 공모사업과 연계하여 소규모 댐을 건설하고, 정부에서 홍수조절용 댐으로 검토하고 있는 문정댐도 중앙부처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식수댐 등 활용이 가능한 다목적 댐으로 건설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소규모 댐 건설은 최근 경남 산청군이 지역 안에 16대 댐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전에는 정부 차원의 댐 건설 계획을 세웠지만, 국토부는 지역마다 민원이 발생하면서 '댐 희망지 공모사업'을 벌여 추진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문정댐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 백인식 진주환경연합 사무국장은 "낙동강부터 살려야 한다. 엄청난 예산을 넣어서 4대강사업을 한 이유가 수질을 좋아지게 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수질은 더 나빠졌다"며 "식수원을 강에서 댐으로 바꾼다면, 강은 더 회복하기 어렵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댐은 정부의 장기적인 수자원 정책에 따라 건설되어야 한다. 지역마다 중소규모 댐을 건설하겠다고 한다면 무분별하게 된다. 많은 예산도 들어가게 된다"며 "식수정책을 바꾸려면 토론과 여론수렴 과정부터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오마이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