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면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사육하는 따오기를 방사할 예정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자연방사'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정부나 경남도의 관심 부족 등이 그 이유이다. 따오기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198호로서 1979년 국내에서 멸종된 따오기 복원·증식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었다. 2006년 창녕군에 따오기복원센터가 만들어지면서부터이다. 2016년 8월 현재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따오기 4마리와 창녕군이 자체 증식한 167마리, 즉 171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우포에서 따오기 복원사업을 시작한 것은 청정한 우포늪의 상징성 때문이었다. 10여 년 동안의 노력으로 자연 방사를 앞두게 되었지만, 성공 여부는 장담하기 어렵다. 따오기 사육·증식기술은 중국·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가 됐는데도 정부나 경남도의 지원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따오기가 처음 2마리에서 171마리로 늘어났지만 온종일 모니터링하는 센터 인력은 8명 그대로이며, 따오기를 방사하였을 때 전문관리인력이 필요하지만, 그에 대한 대책도 없다.

더 심각한 문제는 따오기 관리·보존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제각각이다. 따오기 복원 시작은 청와대가 했고, 사육과 증식은 창녕군과 경남도가 맡고 있다. 따오기 먹이값은 문화재청이 지원하며, 중국과 교류 부분은 외교부에서, 검역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따오기에게 질병이 생기면 누가 컨트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 없는 것이다.

복원이 시작될 때 반대의견이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복원·증식은 시작되었고, 자연방사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성공한다면 사라진 따오기의 복원뿐만 아니라 따오기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되살린다는 성과도 얻을 수 있다. 자연방사가 성공하려면 전문인력 확보를 통한 따오기 관리·보존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며, 정부와 경남도의 따오기에 대한 관심도 지속하여야 한다. 중국은 정부가, 일본은 환경성이 따오기를 관리하고 있다.

우리도 따오기 보존·관리를 전담하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정부와 경남도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따오기가 서식할 수 있는 자연환경의 복원은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