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와 시민단체가 '녹조 원인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속 빈 공방'만 벌이고 모양새다. 

홍준표 도지사는 지난달 말 간부 티타임, 낙동강 현장,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낙동강 녹조 근본 원인은 지류·지천에서 유입되는 축산폐수·생활하수 속의 질소·인이 고온의 물과 결합해 발생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거듭했다. 홍 지사는 "4대 강 보는 물 체류일수가 평균 7일에 불과하다. 소양강댐은 1년 체류 기간이 232일이지만 녹조가 없다. 그런데 대청댐은 처음 만들 때부터 녹조가 있었다. 보은·옥천·영동지역 축산폐수·생활하수가 아무런 정화장치 없이 대청댐에 흘러들어 갔기 때문이다"고 했다.

하지만 경남도는 한발 짝 더 나아간 근거 자료를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경남도 수질관리과 관계자는 "지사님 말씀 이후 확인해 보니 실제로 소양강댐은 물 체류기간이 232일인데 녹조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경남도는 그 외에 '과거 낙동강 녹조 발생 관련 보도 내용'을 스크랩해 활용하는 정도다. 1995년 10월 1일 자 경향신문, 1996년 8월 13일 자 한겨레신문으로 '낙동강도 녹조 급속확산' '부산·울산 이어 대구 수계까지…수돗물 정수 비상'과 같은 내용이 담겨있다. 보 설치 이전에도 녹조가 심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낙동강 어민들이 "예전에도 녹조는 분명히 있었다. 하지만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다"고 증언하는 것에 비춰보면 와 닿지는 않아 보인다.

홍 지사 발언 이후 도내 20여 개 시민단체로 구성한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반박 논평을 냈다. 역시 구체적 데이터는 없었고 정부에서 했던 발언을 주 근거로 삼았다. 관련 내용을 옮겨보면 이렇다.

'녹조 원인이 4대강사업 때문이라는 사실은 지난 2013년 8월 9일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공식기자회견에서 "유속의 저하는 조류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보 건설로 유속이 저하된 것은 틀림없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해 4월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해, 4대강 전체 유역의 물 흐름을 좀 더 원활히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에 들어갔다. 관련해 조경규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8월 26일 인사청문회에서 "연구용역 결과 수문을 열어야 하는 것으로 나오면 추가적인 비용이 들더라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이 논평은 자기 모순적인 주장을 펼치기까지 했다.

'축산폐수와 생활하수는 법적으로 100% 관리되고 있는 오염물질로서 자연계에 배출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이로 인해 경남도민의 식수원 낙동강에서 연례행사처럼 녹조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책임이 있는 공무원이 제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 아닌가? 그러니 당연히 경상남도를 비롯하여 낙동강 수계 관련 지자체 환경공무원들을 직무유기로 징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녹조 주 원인은 생활하수·가축폐수 때문이 아니지만, 만약 그렇다면 이를 관리하지 못한 홍 지사 책임이 크다'는 이중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홍 지사-시민단체 간 '뜬구름 잡는 공방' 속에 오히려 언론이 검증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그 속에서 시민단체 쪽에 무게 둔 학계 전문가들이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는 정도다.

이런 가운데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녹조 윈인을 공동조사하자"는 제안을 경남도에 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로써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