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먹는 물 문제없어"-학계 "독소 완벽 정화 어려워"…보 제거 요구

"수질검사 결과 먹는 물에는 전혀 문제없다."(정수장)

"낙동강 독소를 100% 거를 수는 없다."(학계)

낙동강 녹조가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먹는 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계 기관에서는 안심해도 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지만, 이를 반박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경남·부산 일대 주민 1300만 명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낙동강 수질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조사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질 기준 가운데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는 합천보 4등급(약간 나쁨)·함안보 5등급(나쁨), 총인 농도는 합천보 4등급·함안보 5등급으로 나타났다. 4등급이면 '심하게 오염된 농업용수'에 비유된다.

찜통더위 속에 낙동강 녹조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5일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본포양수장과 본포교 부근 강물을 생수병에 담아보니 진한 녹색을 띠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녹조는 시각적으로 확연히 다가오기에 수질악화 상징처럼 거론된다. 녹조는 불쾌한 냄새를 내며 독소성분을 안고 있다. 먹는 물로 바꾸려면 냄새·독소를 없애야 한다.

환경부는 "냄새 물질은 활성탄과 오존 등 고도처리 과정에서 제거된다. 독소물질은 원수에서 측정되더라도 극미량이며 설령 검출되더라도 정수처리 단계에서 모두 제거된다. 지금껏 수돗물에서 조류 독성물질이 검출된 사례는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 과정은 취수-침전-여과-소독 단계로 나뉜다. 앞서 여러 단계에서 걸러지지 못한 물질은 결국 화학약품 소독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원수인 낙동강 수질이 나빠지면 이를 정수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화학약품이 들어갈 것이라는 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칠서정수장 관계자는 "녹조가 심해지면 공정 관리가 복잡하고 (약품을) 조금 더 쓰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먹는 물에 대한 기본 58개 항목을 더 잦은 주기로 검사하고 있는데, 특이사항 없이 수질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세부적으로 더 들어가면 항목이 많은데 그 모든 걸 다 (검사) 할 수는 없다"고 했다.

반면 반론 목소리도 크다. 박재현 인제대 토목도시공학부 교수는 "공학적으로 정수 처리 과정에서 완벽한 100%가 가능하냐는 것"이라며 "그렇게 봤을 때 현재 낙동강 독소는 기준치 200~400배로 나타나는데 99%만 정수과정에서 걸러진다고 봤을 때 세계보건기구 기준치보다 최소 2배 이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녹조가 심하면 기본적으로 응집제·소독제를 많이 쓸 수밖에 없다. 이는 곧 부산물이 많아진다는 얘기다. 이 또한 먹는 물에 대한 우려 중 하나"라고 했다.

결국에는 정수과정에 의지하기보다는 원수, 즉 낙동강 수질 자체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해 상동면 주민 권복용(68) 씨는 "강이 살아나고 수질이 살아나려면 4대 강 사업 때 만든 보를 없애는 방법밖에 없다"고 했다. 낙동강 수질 조사에 꾸준히 참여하는 한은정 창원시의원도 "상시 녹조모니터 시스템으로 전환해 시민에게 낙동강 수질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보를 허물고 물길을 여는 것만이 방법"이라고 했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녹조 완화를 위해 16일 창녕·함안보 등 5개 보와 합천댐 수문을 열어 강물을 흘려보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