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바다의 소용돌이> 출간 역사추리 형식으로 풀어내 아라가야 재조명하는 데 앞장

공무원이 지역의 아라가야 역사를 다룬 소설을 펴냈다.

함안군청 문화관광과 문화예술담당 주사로 근무하는 조정래(52) 씨가 쓴 <검은 바다의 소용돌이>(사진)가 출간됐다. 역사에 더해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린 추리소설이다.

고대 함안지역을 기반으로 한 아라가야의 역사를 알리고자 기획된 '잊힌 왕국 아라'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사라진 뱃사공>과 <옥돌에 얽힌 저주>, <고분군의 수호자>, <연꽃 위의 처녀>를 잇는 작품이다.

백제가 고구려와의 전쟁을 준비하는 동안 아라가야는 369년 7월 한반도의 임나를 전부 회복한다. 그러나 반걸양 전투에서 고국원왕의 군사를 물리친 백제 태자 귀수가 11월 한강에서 열병식을 거행한 후 아라가야로 쳐들어오자 아라가야의 왕 진정은 백제 군사에 밀려 계속 후퇴하게 된다.

소위 '칠국전쟁'으로 불리는 전쟁에서 한반도의 임나를 다시 백제에 뺏긴 아라가야는 370년 2월 한반도에서 철수해 왜로 들어간다. 당시 아라가야는 규슈지역뿐만 아니라 오사카, 쓰루가 등 혼슈의 비와호 서쪽을 모두 다스리는 상태였다.

소설은 백제가 아라가야를 치기 위해 370년 5월 왜로 출병하자 수군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군선과 군사를 마련하고자 진철이 탐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탐라로 가는 배 위에서 진철은 8000년 전에 계획도시를 조성한 조선족의 홍산문화에 대해 들으면서 황허나 나일,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보다 훨씬 오래전에 문명을 개척한 조선족의 위대함을 깨닫게 되고 고대 중국의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도 조선족의 선진 문물을 도입해 발전했음을 알게 된다.

소설은 환웅시대와 단군시대, 조선국의 진한, 변한, 마한의 삼조선으로의 분립, 위씨의 변한 점령과 진한의 북부여 및 동부여로의 분립, 고구려의 성립과 정복 전쟁, 이에 따른 한무제의 침입과 격퇴, 한 문제가 위씨 조선의 땅에다 설치한 한사군, 비류백제의 성립과 이를 계승한 아라가야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탐라와 두모리의 지명 유래, 한라산의 옛 이름인 두무산의 의미와 일본서기에 적힌 침미다례의 풀이도 적고 있다. 조선족이 해를 숭상한 것과 관련해 일중삼족오와 월중섬여, 산동반도의 소호족에서 전해지는 삼족오 설화에 대해서도 정리하고 있으며, 귀면와와 관련해 제웅치기나 치우에 대한 내용도 있다.

저자는 1991년 1월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으며, 1995년 장편 관념시 '출발'을 <함안문학>에 발표한 후 시인으로 활동해왔다. 이후 임나일본부에 대한 의문점에서 역사 서적을 읽다가 함안을 중심으로 수준 높은 철기와 토기문명을 이룬 아라를 재조명하는 것이 임나일본부를 극복하는 길임을 깨닫고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백제와 아라의 관계를 정리한 서기 359년의 이야기를 다룬 제1권 <사라진 뱃사공>부터 일본이 출범하는 697년까지의 격동하는 아라의 역사를 10권의 시리즈로 완성할 계획이다. 현재 6권 <녹나무관의 비밀>을 준비하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