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헌에 매출액 0.2% 지출, 강제성도 새로운 내용도 없어

창원시 소재 16개 대형유통업체의 지난해 지역공헌사업 지출액이 총 4억 3900만 원으로 매출액 대비 0.045%에 불과했다. 이에 창원시는 올해에는 매출액의 0.2% 이상으로 끌어올리고자 가이드라인을 정해 대형유통업체와 28일 상생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이번 협약으로 실제 대형유통업체의 지역공헌사업이 늘어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어디까지나 강제성이 없는 가이드라인인 데다 새로울 것이 없는 가이드라인에도 많은 함정이 보이기 때문이다.

◇지역 고용확보 94%→96%로 = 창원시는 대형유통업체의 지역민 고용 비율이 94%라며 96%까지 끌어올려 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지역민이라는 용어에서도 창원시와 대형유통업체는 입장 차를 보이고 있다.

창원시는 창원 시민을 규정하고자 하지만 대형유통업체는 출퇴근 가능한 김해·밀양 시민도 지역민으로 포함하고 있다. 사실 지역민을 규정하기가 애매하다. 출생지역, 거주지역, 생활지역 등 기준에 따라 지역민 개념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96% 수치는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다.

대형유통업체 관계자는 "창원의 한 백화점 직원 수는 70여 명, 대형마트는 120명 정도로 100명 내외다. 2% 늘리라고 하면 1, 2명 늘어나는 꼴이다. 3000~4000명 작업장에서야 2%가 효과가 있지만 1, 2명 늘고 줄어드는 것을 가이드라인에 명시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01.jpg

◇공익사업, 매출액의 0.045%→0.2%로 = 창원시가 지난해 16개 대형유통업체 지역공헌사업 총 금액을 4억 3900만 원으로 산정한 것은 장학금, 이웃돕기 등 현금 지원을 계산한 것이다.

이에 대형유통업체는 상품 지원, 땅 기부, 중소기업 상설매장 지원, 다양한 인력 봉사는 포함되지 않았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창원시는 보완이 필요한 점을 인정하며 "직원 봉사 일당도 계산해서 지역공헌사업 금액으로 포함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대형유통업체는 다양한 명분을 붙여 지역공헌사업이라고 제시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세세한 기준이 없는 가이드라인으로는 대형유통업체들이 현재 진행하는 사업만으로도 무난히 0.2%를 달성할 수 있다.

◇지역용역업체 활용 26%→50%로 = 창원시는 "실제 지역민을 직접 고용한 인원"만을 계산해 현재 대형유통업체의 관내 유통업체 비율은 26%라고 밝혔다. 창원시는 가이드라인을 50%로 정했다. 대형유통업체 관계자는 실효성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그는 "청소, 주차 관리 용역업체는 서울에 있지만 일하는 직원은 지역민이다. 청소할 사람을 부산, 경주에서 데려다 활용할 수는 없다. 이미 50%를 넘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형유통업체 관계자는 "청소, 주차 등은 유통점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전문적인 교육과 서비스 질이 중요하다. 이들을 체계적으로 교육·관리할 수 있는 큰 업체가 과연 지역에 있는지 의문이다. 불안 요소를 안으면서 지역 용역업체를 활용할 대형유통업체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336393_253704_133.jpg
▲ 롯데마트 창원중앙점./경남도민일보DB

◇"그래도 진일보했다" = 창원시는 대형유통업체의 지역 기여도와 상생협력 이행 실적을 매년 2월경 전년도 연간 실적과 함께 인터넷에 공개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 중이다. 가이드라인에 불과하지만 공개를 통해 견제를 하고 압력을 가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원시는 '상생협력팀'을 신설하고 인력을 3명 충원해 지역공헌 활성화 사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심과 노력이 "그래도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실효성 없는 가이드라인은 창원시 역시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