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돈 국회의원 "서울에서 이런 물 먹는 건 상상 못해"…대부분 4등급 내외로 '오염 극심'

4대 강 사업이 완료된 지 5년이 흐른 지금, 먹는 물에도 비상이 걸렸다. 낙동강을 찾은 국민의당 이상돈 의원이 "서울에서는 이런 물을 먹는다는 걸 상상할 수 없다"고 할 정도였다.

4대강조사위원회·낙동강네트워크·이상돈 국회의원실은 28일 창녕함안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수질·퇴적토·어류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4대강조사위원회가 지난 6월 9~11일 낙동강 본류 2개 지점(창원시 본포취수장, 대구 달성군 도동서원)과 보 3개 지점(함안보, 합천보, 달성보) 등을 대상으로 수질·하천 퇴적물·주변 환경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이들은 "수질이 예상보다 심각한 수준이었다"고 우려했다.

수질을 측정하는 몇 가지 기준이 있는데, 우선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는 함안보·합천보 모두 3등급(보통)으로 조사됐다.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는 합천보 4등급(약간 나쁨)·함안보 5등급(나쁨)으로 나타났으며, 총인 농도는 합천보 4등급·함안보 5등급이었다.

512268_390926_2920.jpg
▲ 낙동강 녹조 모습. / 경남도민일보DB

조사에 참여한 박재현 인제대 토목도시공학부 교수는 "4등급이면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상태가 안 좋은 농업용수에 비유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낙동강 물을 원수로 사용하는 시민 건강이 우려된다. 지금 상태에서는 원수에 있는 독소를 99% 정수하더라도 세계보건기구 기준치보다 몇십 배 웃돌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낙동강 수질 악화 이유는 보 설치에서 찾았다. 강물 흐름 저하로 미세물질이 바닥에 가라앉아 썩고 있다는 것이다. 모래층이던 바닥은 4대 강 사업 이후 펄층으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강바닥은 오염된 저장창고'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조사에서도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질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어류 감소로 연결되는 것 또한 당연했다. 바닥은 펄로 변하고 물풀 같은 서식처가 사라지면서 치어 성장 여건이 안 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지금은 최상위 어종인 강준치 같은 것만 남아있다. 조금 더 지나면 이마저도 생존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4대강조사위원회는 "단기적으로는 보 수문을 개방해 물을 흐르게 하고 수심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다시 보를 없애거나 유지하더라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돈(국민의당 비례대표) 의원 또한 낙동강 수질 심각성에 큰 우려감을 나타냈다. 이 의원은 "4대 강 사업 전에 전문가 중에서는 물이 맑아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지금 그렇게 말할 수 있는가"라며 "3·4등급 물을 먹는다는 건 상상할 수 없다. 1등급 아니더라도 최소 2등급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상돈.jpeg
▲  4대강조사위원회와 낙동강네트워크, 이상돈(국민의당 비례대표) 의원 등이 28일 경남 창녕함안보에서 4대 강 사업 이후 일어난 낙동강의 환경 변화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이 의원은 "(여소야대로) 이번 국회는 국정감시 여건이 강화되었기에 과거처럼 진실을 호도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정부가 거짓말하지 않는 전문가 견해를 경청하고 태도 변화를 보일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자리에서는 이상돈 의원과 어민 간담회도 마련됐다. 어민의 성토 목소리가 이어졌다. 창녕군 유어면 주민 성기만 씨는 "물고기를 잡으려는 어민이 잘못된 것일까, 아니면 물고기를 없앤 정부 잘못일까"라고 반문하며 "이젠 어부 삶을 포기하고 정부와 싸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