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제조업에 불황의 그늘이 짙게 드리워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국 산업생산은 건설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 대비 0.6% 증가한 걸로 나타났지만, 경남 광공업 생산은 금속가공(-28.5%), 기타운송장비(-16.0%) 등에서 생산이 대폭 줄어들어 전년 같은 달보다 9.4% 감소하였다.

한국 중공업의 대표선수 역할을 해온 창원공단과 거제·통영지역 조선해양산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대책수립이 한 박자 늦으면서 고용대책이 정말로 필요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사각지대로 내몰리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발간한 2015년 조선해양자료집에 따르면 빅3 조선사와 중대형 조선사 등 국내 9개 조선·해양업체 인력은 2014년 기준 20만 4635명이었고, 흔히 사내하청 업체라는 협력사 기능직은 13만 4843명으로 60%가 넘었다. 하지만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현황을 경남도는 통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즉, 도내 조선업체 고용 인력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경남도가 제대로 된 대책을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 하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이 현재 고용 인력 8만 9133명(사내 하청·물량팀 포함)을 분기별 조정을 거쳐 내년 3월까지 2만 7267명 이상 감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감원은 하청업체의 인력 조정으로 이어질 것이 분명한 마당에, 경남도는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종합대책부터 제시하는 게 순서이다.

제조업 경기불황이 본격화하기 이전까지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란 임금과 근로조건의 차별과 불평등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제조업의 위기가 수면위로 등장하면서 고용문제는 정규직 노동자들의 일자리 지키는 데 급급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유지는 어느 누구도 말조차 꺼내지 못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대책수립이 정말로 필요한 때이다. 시장상황에 따라 부침이 분명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대책을 경남도가 제시하기는 물론 어려운 게 현실이다. 현재의 금속산업이 조선해양산업의 위기를 받아 줄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하더라도, 경남도가 나서서 해결 의지를 표명하는 정치는 필요해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