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돋보기] '수출길 확보·용지난 해결' 항공산업 새 도약 키워드

경남 사천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중심이다. 사천에는 국내 유일의 완제기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비롯해 하이즈, 샘코 등 매출기준 국내 상위 항공기업이 있으며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 KAI연구개발센터 등 연구개발 인프라도 풍부하다.

특히 사천에서는 현재 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 지원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2020년 국내 항공산업의 'G7(Global 7)' 도약을 위한 전초기지가 될 '진주·사천 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도 추진 중이다. 항공정비(MRO)사업 유치도 노력 중이다.

◇항공산업 최대 집적지 사천 = 국내 최초로 조성하는 진주·사천 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는 진주시 정촌면과 사천시 용현면 일원에 들어선다. 375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1단계(2016∼2020년)로 165만㎡를 조성한 뒤 입지수요를 참작해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단계는 165만㎡, 3단계는 106만㎡ 등으로 조성되는데 총 436만㎡ 규모다. 국내외 항공업체 33개 이상 유치가 목표다.

또 항공특화단지 사업은 오는 2018년 10월까지 4년간 사천시 용현면 신촌리 종포일반산업단지 일부와 임대전용단지 76만 9347㎡에 조성된다. 국비 246억 원, 도비 40억 원, 시비 112억 원, 민자 76억 원 등 총 474억 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공익용 항공표면처리 구축사업과 항공기 시험평가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나뉜다.

MRO는 생산제품의 정비(Maintenance)와 보수(Repair), 운영(Operation) 활동을 위해 투입하는 자재와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간접재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사업은 현재 1조 7000억 원 규모로 초기단계이다. 하지만 10년 내 4조 3000억 원 규모로 성장, 완제기 시장과 함께 항공산업의 큰 축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천에 MRO사업이 유치되면 2020년까지 국비 1000억 원 등 총 7000억 원이 투자된다. 인구유입 2만 명, 일자리 창출 7000명, 매출 2조 원 등이 예상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에 큰 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사업 등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사천은 항공산업의 최대 집적지가 된다.

◇한 단계 더 발전하려면 = 하지만 우주항공산업도시인 사천에는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 안정적인 해외수출길 확보와 심각한 용지난이다. 사천시는 경남도와 함께 지난 2011년부터 전국 최초로 '경남항공부품 수출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항공 관련 중소기업들의 해외수출은 안정적이지 못하고 여전히 KAI에 의존하는 형국이다.

그렇다고 수출지원단 성과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2011년 1건 700만 달러, 2012년 4건 630만 달러, 2013년 8건 1억 5400만 달러, 2014년 6건 3060만 달러, 2015년 5건 2억 7300만 달러 등 모두 23건 5억 2840만 달러의 계약실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기도 했다.

사천시 우주항공과 최일 과장은 "이제 기반조성 단계에서 벗어나 다각적인 수출전략이 필요한 단계"라며 "샘코·하이즈 등 KAI 협력업체들이 직접 해외수주를 이뤄야만 독자적인 경쟁력이 생길 수 있다. 하도급 방식으로 이뤄지는 수출물량 확보가 아닌 기업과 기업 간 직거래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도내 항공 관련 중소기업들의 항공기 부품 수출 신장을 위해 본격적으로 해외수출길 확보에 나섰다. 경남도, KOTRA,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도움으로 항공부품시장개척단을 꾸려 지난 10일부터 20일까지 미국을 방문 중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해외 바이어들을 사천으로 불러 모은다. 오는 10월 봄바르디어(포천 글로벌 500대 기업, 연매출 200억 달러)를 비롯한 에어버스, 보잉, 엠브라에르, 에어롤리아 등 국외 바이어 회사와 국내 50여 개 수출 유망기업들이 참여하는 항공우주산업 수출 상담회를 열 계획이다.

심각한 용지난 해소도 필수과제다. 최근 항공국가산단 지정 등으로 항공산업이 커지면서 공장 터를 구하려는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에 시가 직접 터 물색에 나서지만 마땅한 유휴지가 없어 실적을 못 올리고 있다. 항공국가산단과 종포산단 같은 대규모 공단 조성까지 고려하면 개별 기업들의 용지난은 더욱 심각하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실제 KAI 매출만 놓고 봐도 10년 전보다 10배 이상 늘었으나 항공산업용지는 그대로다. 시 관계자는 "항공산업 특성상 KAI를 중심으로 집적화가 필요해 이 일대 용지난을 해결하지 못하면 항공산업 큰 그림도 수정이 불가피해진다"며 "유휴지를 보유한 기업 협조가 절실하다"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