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자유무역지역 인근 성동조선소 터 12만여 ㎡는 마산지역 중심에 위치한 마지막 남은 대규모 공장부지다. 성동산업이 한진중공업으로부터 조선소를 사들였을 때만 해도 마산이 예전의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가 됐으나 때맞춰 불어닥친 조선업 불황으로 시기를 잃고 다시금 방황함으로써 시민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러나 낙찰받은 부동산업체가 매도계획을 세워 스무 개가 넘는 곳으로부터 분양신청이 됐고 비로소 활성화 전기를 맞게 되나 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진척이 너무 더디다.

입주를 희망하는 업체가 없어서도 아니고 특별한 걸림돌이 있어서도 아니다. 최대 난관은 창원시의 개발 욕구와 부지 분양기준이 엇갈리는 데서 오는 현상이다. 창원시는 기계공단 유휴지에 대해 최소단위의 필지분할을 못하도록 막고있는 행정방침을 성동조선소 터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바 그 핵심내용은 5000평이나 1만 평 이하 작은 면적으로 부지가 쪼개져 팔려나가는 것을 방관치 않겠다는 것이다. 현재 소유주의 계획과 입주를 희망하는 업체의 물량으로 살피건대 업체당 평균 분양 면적은 2000평 이하로 줄어들고 적게는 1000평도 안되는 소규모 공장 터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창원시의 행정지도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모순이 빚어지는 것이다. 시당국은 얼마 전 입장을 누그러뜨려 작은 필지로 분할은 인정하되 사양산업이 아닌 첨단형 생산공장으로 전환함으로써 영세화를 예방하겠다고 밝혔지만 의도하는 대로 형편이 따라주지 않아 차일피일 미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 방침이 원칙적으로 나쁘지 않다는 것은 인정된다. 되도록 규모를 크게 해서 자본력이 튼튼한 업체를 유치한다면 그보다 더 좋을 것이 없다. 또 오염도 없고 가능성이 무한대인 미래산업이 다수 들어올 수만 있다면 쌍수를 들어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그것 때문에 입주가 막히는 중소형 기업이 한두 군데가 아닌 것도 문제다. 대기업을 선호하는 정책에 밀려 유망업종이 기회를 잃게 된다면 그 피해 또한 작지 않다. 따라서 원칙을 살리되 최선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살피는 합리적 시각까지 갖춰야 한다. 그것도 되도록 빠른 것이 좋다. 민간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만들어 기준을 세우고 심의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